• 검색

[脫원전시대]③친환경·신재생에너지 ‘물만났다’

  • 2017.06.23(금) 15:00

석탄·원자력 비중 감소…무게중심 LNG발전으로 급속 이동
재생에너지 2030년 비중 20%…태양광·ESS 등도 힘 받을 듯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내 에너지 산업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탈(脫)원전 시대가 도래 했고, 석탄발전소 입지도 줄어든다. 친환경·신재생에너지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변화에 발맞추려는 에너지 업계도 분주하다. 이제는 원전 해체시장에서 살길을 모색해야 하는 기존 원전 업계와 화색이 도는 친환경 에너지 업계를 들여다본다. [편집자]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업계가 제대로 빛을 받을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탈(脫) 원전 정책이 가시화되는 것과 동시에 천연연료로 각광받는 LNG(액화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서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원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로 인해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에 쏠려있던 국내 에너지 산업의 무게중심이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이동할 전망이다.

 

 

◇ 화색 도는 LNG발전

 

2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전력거래량(50만9233GWh) 중 LNG발전(11만1814GWh)이 차지하는 비중은 22%로 석탄(40.6%)과 원자력(30.3%)에 이은 3순위에 머물렀다.

 

반면 설비용량 규모는 가장 크다. LNG발전설비 용량은 전체(10만8246MW)의 31%(3만3769MW)로 석탄(3만3754MW, 31.2%)과 원자력(2만3116MW, 21.4%)에 앞서있다. 값싼 에너지원을 먼저 가동하는 국내 전력시장 구조로 인해 설비용량은 크지만 실제 가동을 통해 생산하는 전력은 원자력과 석탄발전에 크게 밀리는 것이다.

 

국내 LNG발전은 민간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2011년 블랙아웃 이후 정부가 발전설비를 늘리는 과정에서 친환경 연료인 LNG발전 투자를 독려했고, 열효율도 높아 민간발전사를 중심으로 LNG발전설비가 증가했다. 하지만 원전과 석탄발전에 밀려 발전소를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면서 국내 LNG발전업계는 실적 및 재무구조 악화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SK E&S와 포스코에너지, GS EPS 등 LNG복합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민간발전사들은 해마다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의 등장은 위기에서 벗어나 반등을 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문 대통령이 가동 중인 노후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소 운영을 중단하고, 신규 건설을 계획했던 발전소도 재점검 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발전원별 비중 조절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가동 1·2순위인 원전과 석탄발전 대신 LNG발전의 역할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NH투자증권은 2030년 기준 국내 전력생산 비중은 LNG발전이 37%로 가장 많고 원자력과 석탄발전은 각각 12%와 23%, 신재생에너지는 2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올해 준공을 완료하고 가동에 들어가는 신규발전소 설비용량 규모가 총 1만3461MW인데, 이 중 석탄과 원자력 규모는 각각 7302MW와 1400WM로 절반이 넘는다. 당장의 수혜보단 중기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분석이 많은 이유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석탄 및 원자력 발전량 감소는 급전순위(전력수요 발생 시 가동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던 LNG발전에게는 영업실적과 사업 환경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소”라며 “특히 국내 LNG민간발전사들은 LNG직도입 등 연료조달과 고효율 설비 보유 등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신재생에너지, 성장 본격화

 

LNG의 뒤를 이어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커진다. 정부 계획대로 2030년 재생에너지 비율이 20%를 차지하면 국내 전력시장에서 원자력 발전보다 더 큰 몫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정부 정책에 의해 힘을 받을 전망이다. 올해 RPS(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비율이 4.0%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 공약이었던 ‘RPS 의무공급량 비율 추가 상향 조정’과 ‘소규모 신재생 설비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도 한시적 도입‘이 현실화되면 신재생에너지의 증가세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올해 최종소비 부문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10%대의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관련 산업의 폭도 넓다. 신재생에너지를 대표하는 태양광 산업은 이미 많은 국내 기업들이 진출한 상태다. 한화큐셀코리아가 대표적이다. 태양광 모듈 공급을 포함해 태양광 에너지와 관련된 프로젝트개발과 시공, 에너지 사업자 모델 등 통합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태양광의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도 오랜 시간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해상 풍력산업 육성도 강조했다. 이렇게 되면 풍력발전단지 조성과 운영, 풍력발전 핵심인 풍력타워 등 주요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들도 가파른 성장이 예상된다. 국내에선 현대중공업 계열사인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와 SK그룹의 SK D&D 등이 풍력발전 사업을 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자연환경을 이용하는 까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ESS(에너지저장장치)가 필수적이다. 이런 이유로 ESS 핵심 부품인 중대형 2차전지를 생산하는 LG화학과 삼성SDI 등도 관련 사업 육성에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