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에어택시 UAM, 항공기일까 자동차일까

  • 2022.08.29(월) 13:23

[2022 모빌리티워치]뜬다! 에어택시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인터뷰
"車관점서 보면 한국형UAM 기술 상당수준"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세계 주요국에서 도시의 교통 혼잡을 해결할 수단으로 부상하는 'UAM(Urban Air Mobility)'. 우리나라는 오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실증 사업에 돌입했는데요.

그렇다면 한국형 UAM의 특징이나 방향성은 무엇일까요. 비즈니스워치가 개최한 '2022 모빌리티워치-뜬다! 에어택시'에서 전문가에게 자세히 들어봤습니다.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UAM의 기체가 항공기보다 자동차에 가깝다는 점에 우선 주목했습니다.

전기 수직 이착륙기, 이른바 'eVTOL'은 하늘을 난다는 측면에서 항공기처럼 인식되지만 생산·운용 방식을 보면 자동차산업과 성격이 비슷합니다. 

만약 UAM을 상용화한다면 기체인 eVTOL을 연간 최소 1만대 이상 만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어느 정도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체를 대량 생산한다는 것이 항공 분야에선 전례가 없는 일인데요.

그러한 측면에서 eVTOL의 생산 방식은 항공기보다 오히려 자동차와 흡사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이 교수는 eVTOL이 자동차에 가까운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형 UAM의 기술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국내 자동차 산업 기술이 상당히 성숙한 상태이고 KF-21(국산 초음속 전투기) 비행 성공 사례에서 봤듯이 국내 항공 산업의 설계와 제작 기술력 역시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이미 현대자동차가 UAM 실증사업에 뛰어들어 기체 제작을 맡았습니다. 

무엇보다 eVTOL은 배터리나 모터 등의 부품이 핵심인데요. 우리나라는 2차 전지 배터리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형 UAM의 잠재력이 높다는 것이죠.

뿐만 아니라 UAM 운용에 필요한 관제 분야에서도 통신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수준이 세계적이라는 점에서 'UAM 기본기'가 탄탄하다는 분석입니다. 

이 교수는 "전반적으로 봤을 때 UAM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상당히 기본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UAM의 대중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습니다. 이 교수는 우선 소음 문제를 꼽았습니다. 소음의 사전적 의미는 '원치 않는 소리'입니다. 다소 주관적인데요. 사람에 따라 소음을 다르게 느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UAM의 소음을 어느 정도로 규제해야 할 것이냐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무엇보다 상업 지구와 거주 지구가 명확하게 분리가 안돼 있어 소음 문제에 취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다행히 신기술이 등장했을 때 수용성이 높다"라며 "사회적 수용성 문제는 기술적 이슈가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