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로 부실 경영과 관리 능력으로 도마위에 오른 김광일 MBK 부회장이 고려아연 이사진에 합류하면서 우려의 시선을 받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김광일 부회장은 지난 28일 열린 고려아연 정기주주총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진에 합류했다. 집중투표제 방식으로 실시한 이날 이사 선임 안건 중 MBK·영풍 측이 추천한 17인 후보 가운데 김 부회장과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 강성두 영풍 사장이 각각 선임됐다. 고려아연 측에서는 총 6인의 후보가 선임됐다.
시장에서는 김 부회장의 이사 선임을 두고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김 부회장은 지난 1월 23일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에서와 달리 이날 정기주총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홈플러스 대표이사로서 기습적인 기업회생 신청 등으로 논란이 커지면서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홈플러스 노조가 이례적으로 타 기업의 주총 현장을 찾아 MBK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불참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앞서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은 김 부회장 선임에 대해 부적격하다며 줄줄이 반대를 권고했지만, MBK·영풍 측이 김 부회장과 강성두 영풍 사장에게 집중적으로 표를 던져 가까스로 합류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김 부회장은 이미 18개 기업에서 기타비상무이사등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모두 MBK가 투자하거나 인수한 기업들로 한 사람이 여러 업종의 기업 경영에 관여하는 비정상적인 구조가 홈플러스 사태 같은 화를 부른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한편, MBK에 대한 정치권과 정부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국세청 세무조사에 이어 금융감독원 검사, 공정거래위 조사 등 전방위 압박이 이뤄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의 경우 내달부터 매주 MBK의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현안 브리핑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MBK는 자기 뼈가 아닌 남의 뼈를 깎는 행위로 손실은 사회화시키면서 이익은 사유화하는 방식을 취한다”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국회에서는 청문회까지 예고하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로 개인 피해자들이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에 더해 지난 18일 열린 긴급 현안질의에서는 김 부회장이 십여 대의 슈퍼카를 보유한 호화 생활을 했다는 점이 논란이 되면서 여론이 크게 악화한 영향이다.
강성두 영풍 사장의 이사회 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강 사장은 ISS와 글래스루이스 등 글로벌 양대 의결권 자문사를 비롯해 주요 국내 자문사들로부터 줄줄이 반대 권고를 받은 바 있다.
실제 서스틴베스트는 강성두 사장에 대해 환경 및 산업안전 관련 리스크 관리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아 적격성 요건이 결여됐다는 판단을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