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호관세발 시장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복현 금감원장이 비상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증권시장의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8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체는 총괄반, 시장점검반, 산업분석1반, 산업분석2반, 권역별대응반 5개반으로 구성했고, 금감원장 주재로 매주 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확대, 즉각적인 중국의 보복조치로 인한 무역갈등 확산 가능성 등 글로벌,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큰 폭 확대되고 있다"며 "원내 비상대응 체계 가동을 통해 산업별 피해분석, 금융시장 안정, 금융권 건전성 관리 등에 총력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전세계의 동시다발적 차등관세로 국내 산업에 대한 영향과 파급경로가 매우 복잡한 만큼 수출품의 피해 수준을 정밀 분석할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상대적 대응능력이 미약한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영향도 살펴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필요대응방안을 적시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
시장 모니터링도 강화해 필요시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기업자금 취급 동향과 기업대출 건전성 추이를 살피는 한편, 주가 급락으로 주가연계증권(ELS)·레버리지 상품 등 고위험 상품판매 현황을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이어진 임원회의에서 업권별로 세부적인 점검사항을 지시했다. 은행감독 부문은 관세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자본규제 인센티브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보험감독 부문은 자본규제 합리화, 보험부채 평가기준 정비 등 제도시행의 수용도를 높이고 기본자본지급여력(K-ICS) 제도의 연착륙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이 원장은 최근 한국거래소 코스피 전종목 거래정지 사태, 키움증권의 트레이딩시스템 오류 사고가 연달아 발생한 것을 언급하며, 관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면밀한 점검과 기민한 비상대응에 힘써 줄 것을 지시했다. 또한 사고발생시 관련 법, 절차에 따른 투자자 피해보상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