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남북 경협]통신 활기 돌까…KT 도드라진 행보

  • 2018.06.13(수) 15:36

KT, 테스크포스 꾸리고 발빠른 준비
다른 이통사, 북한 가능성 '예의주시'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선 통신 산업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ICT 기업 중에서 유독 KT가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경협을 통한 현실적인 수혜를 기대하기 어려운데다 민간 기업이 아닌 정부 차원에서 초기 사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다른 이통사들은 향후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 KT, 개성공단 재개되면 즉각 통신 지원 


KT는 남북간 ICT 교류 확산을 위해 국내 이통사로는 처음으로 ‘남북협력사업개발 테스크포스(TF)’를 지난달 10일 신설했다. 지난 4월27일 개최된 제3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보름만에 TF를 꾸리는 등 도드라진 행보다.

  
지난달 29일에는 구현모 경영기획부문장 사장을 TF장으로 임명하는 등 책임자 인선을 마무리했다. TF는 대정부 지원 등 4개 분과로 구성하는데 빠른 업무추진을 위해 주요 부문장이나 그룹사 사장에게 분과장을 맡겼다. 그룹 차원에서 남북간 경제협력 및 ICT 교류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KT는 남북정상회담 등에서 통신 지원 경험을 살려 경제협력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 대북사업이 재개되는 즉시 통신서비스를 제공, 남북경협 참여기업들이 사업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지난 2004년 KT-삼천리총회사(조선컴퓨터센터)와 추진했던 남북 소프트웨어 공동 연구개발을 재개할 예정이다. 북한 IT인력 위탁교육 및 IT인력 활용 등 IT 교류사업을 남북한 당국과 협의해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2005년 12월 열었던 개성지사가 재가동할 지 관심이다. KT는 개성지사를 통해 남북간 민간 통신망(700회선)을 연결한 바 있으며 10년 동안 개성공단에 직원을 상주시켜 입주기업들의 통신지원 업무를 수행했다. 개성공단에는 남북간 광케이블 등 통신 인프라와 함께 북한 당국으로부터 50년간 임차한 1만㎡ 규모의 통신국사 부지를 확보하고 있어 KT는 언제라도 사업을 재개할 수 있다.
 
KT는 위성 서비스 자회사인 KT SAT을 통해 북한 지역의 통신과 방송을 연결하는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통신과 방송 인프라가 취약한 북한에서 위성망은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선 인프라보다 신속하게 운영할 수 있는 위성망으로 데이터 통신이나 차량을 이용한 중계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KT의 또 다른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는 증권가에서 남북관계 개선시 주목해야 할 기업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곳이다. 지난 2010년에 발사한 위성 '올레 1호'는 한반도 전체를 커버하기 때문에 북한에서도 접시와 셋톱박스를 설치하면 한국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남북 교류가 활발해져 한국의 콘텐츠가 북에 전송된다면 케이블TV나 인터넷TV(IPTV)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위성방송을 먼저 찾는다는 것이다.

 

◇ 이통사들 성장 가능성 예의주시

 

KT가 남북경협에 가장 의욕을 가지고 준비하는 반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 다른 이통사의 움직임은 아직 미지근하다. 당분간 민간 기업보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경협 사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실질적인 수혜를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한 통신 업체 관계자는 "아직 경협 사업을 따로 준비하고 있지 않으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남북한 화해 무드가 무르익고 있으나 아직 민간 업체가 주도적으로 나서 경협 사업을 벌이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라고 말했다.

 

KT를 제외한 이통사들이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것은 현실적인 수혜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도 작용한다. 북한의 통신 사업이나 망 투자를 이끄는 주체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북한 스스로 네트워크 투자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한국을 포함해 외자 유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북한은 이동전화보급률 17%, 고속인터넷 보급률 1% 등으로 낙후된 통신 인프라를 갖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 이미 통신 사업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북한이 국내 통신사에 사업 참여 기회를 준다해도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매력적이지 않다는 분석이다. 

 

국내 이통사들이 북한에서 서비스를 한다해도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낮을 수 밖에 없으며 매출 기반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정치권에선 남북한의 시급한 당면과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 질병관리 시스템’나 ‘스마트 관제’, ‘스마트 산림녹화’ 등 ICT를 키워드로 한 교류 협력방안이 언급되고 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달초 '남북 디지털 문화융합 협력사업 세미나'를 열고 "북한의 IT 산업 종사자 수는 2013년 기준 17만명이며 약 4만6000명의 IT 인력을 중국과 러시아에 보내기도 한다”며 북한의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