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기자수첩]5G 킬러콘텐츠 안나오나 못나오나

  • 2019.12.02(월) 16:33

5G 첫 전파 쏜지 1년…규제 합리화 필요해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가 12월1일로 전파 송출 1주년을 맞았다. 물론 전파 송출 후 5G 스마트폰이 첫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니, 일반 소비자가 체감하는 5G는 아직 1년이 되진 않았다.

그래도 주변에서 5G 이용자를 꽤 찾아볼 수 있다. 11월말 기준 5G 스마트폰 가입자는 433만명에 이르러, 연내 470만명 수준(보급률 10%미만)에 달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가입자 규모는 현재 세계 최대다.

물론 4G 출시때와 비교하면 5G 확산 속도가 더딘 것은 사실이다. 4G 보급률은 1년 차인 2011년 29.6%, 2012년 51.5%를 기록한 바 있다.

5G 보급 속도가 4G에 비해 더딘 배경은 스마트폰 시장 자체가 성숙한 탓이 가장 크다. 이미 많은 사람이 하이엔드 스마트폰을 통해 4G에서도 큰 불편 없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바꾸지 않는다는 얘기다.

5G 커버리지나 속도도 여전히 개선중이므로, 소비자 입장에선 더 나은 서비스가 구현될 때까지 기다리는게 당연하다.

이를 다른 측면에서 보면 4G가 새롭게 등장했을 때보다 5G만의 킬러 콘텐츠가 부족한 것 아니냐로 해석할 수 있다. 비싼 5G 요금제에 가입해도 쓸만한 콘텐츠가 없다는 뜻이다.

실제로 4G 시절의 킬러 콘텐츠가 아직까지도 킬러 콘텐츠로 자리잡고 있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대표적이다.

물론 5G가 시작됐다고 해서 전혀 새로운 서비스가 툭 튀어 나오기는 어렵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5G 시대를 주도하는 통신3사가 새롭게 시도한다는 대부분의 5G 킬러 콘텐츠도 4G 때부터 가능했던 게 대부분이다.

증강현실(VR), 가상현실(AR), OTT(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클라우드 게임 등이 그랬다.

그렇다고 기존 것을 조금씩 개선하는 것만으로 5G 시대가 활짝 열리길 기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다양한 도전을 거듭해 킬러 콘텐츠를 발굴해야 그중 하나가 겨우 성공에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최첨단 5G 인프라를 세계 최초로 개척하고 있는 기회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더 많은 도전이 요구된다.

특히 내년은 초고속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28㎓ 대역과 5G 단독 모드인 SA(스탠드얼론) 서비스가 시작된다.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이 특징인 5G를 온전히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된다.

또 한가지 아쉬운 점은 규제다. 5G 특징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영역은 자율주행 분야가 손꼽히고 있고, 이를 구현하는 전 단계로 각종 모빌리티 서비스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버부터 콜버스, 풀러스, 타다 등 각종 모빌리티 서비스는 규제 및 기존 산업과의 대립과 함께 존립의 위기를 맞았다.

국내 사업자들은 자율주행 관련 최상의 인프라인 5G의 구축 단계를 앞두고 시작조차 못하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전과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요구된다. 전에 없던 혁신적 서비스나 제품은 필연적으로 기존 질서와 격돌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일상적 서비스인 카카오톡도 4G 시절에 인기가 급등하자 기존 이동통신사들의 견제를 받은 바 있다.

여전히 과거의 잣대로 새로운 서비스를 규제한다면 전에 없던 킬러 콘텐츠 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