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유동성위험 관리

  • 2015.01.21(수) 11:21

경기가 침체에서 불황으로 전이되면 신용 경색 현상이 빚어진다. 돈은 더 돌지 않게 되고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져 유동성관리는 더욱 중요해진다. 얼마 전 집을 15채나 가진 부자가 부채에 덫에 걸려 낭패를 당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유동성위험 관리를 등한히 하다가는 뜻밖의 사태를 겪을 수 있다는 메시지다.

일취월장 뻗어나가던 대기업들의 부도사태도, 1997년 아시아 외환금융위기도, 2008년 세계금융위기도 모두 유동성위험 관리 부재가 원인이며 도화선이 되었다.

유동성(또는 환금성)이란 어떤 자산을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현금 같은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바꿀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은 비용 없이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고, 반대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현금화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비용을 들여야 한다. 현금이나 수시입출금식 예금은 유동성 그 자체이며, 부동산(不動産)은 글자 그대로 유동성이 낮은 부동자산이다.

가계나 기업이나 수입과 지출사이에는 시차가 존재하므로 일상 활동에 필요한 거래자금과 함께 돌발 사태에 대비한 예비자금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 같은 거래동기(transactions motive)와 예비동기(precautionary motive)에 의한 유동성 보유, 즉 활성자금(active money) 수요는 대체로 소비성향이나 사업규모가 클수록 늘어난다.

운용자금 외에 나머지 자금은 유동성이 낮더라도 수익성 있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경제적 선택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이 무수익 유동성을 보유하는 까닭은 수익률이 보다 높은 자산에 투자할 기회를 갖기 위한 이윤추구 동기로 설명할 수 있다.

투기동기(speculative motive)의 유동성 보유, 즉 대기성 유휴자금(idle money) 수요는 금리 수준이 낮을수록 늘어난다. 여기서 말하는 저금리는 절대수준이 아니라 거시경제여건에 비하여 상대적 수준이 낮다는 의미다. 예컨대, 향후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가까운 미래에 금리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현재 금리는 상대적 저금리가 된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은 대체로 수익성이 낮기 마련이다. 쉽게 말해, 현금을  그대로 보유할 경우 돈의 기회비용이 되는 이자수익을 포기하여야 한다. 또 유동성을 선호하여 장기채권 대신 단기채권을 보유할 경우에는 장기채에 적용되는 고금리 즉 유동성 프리미엄(liquidity premium)이 없어진다.

반대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의 보유비중이 과다할 경우, 경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수익성 높은 신규 사업에 진입하고 싶어도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회를 놓치기 쉽다. 비록 순자산이 많더라도 부채가 있을 경우, 돈을 제 때 갚지 못하여 고금리로 급전을 써야하기도 하고 지불불능사태를 맞게 될 위험도 있다. 경기 침체기에 땅을 처분하려면 헐값에 급매물로 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 확보에 큰 비용이 소요된다.

자산은 물론 부채관리에 있어서도 부채의 만기구조와 미래의 현금흐름 분석 같은 유동성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IMF 구제금융사태 직전 어떤 금융 대기업은 자금조달비용이 저렴하다면서, 콜머니 같은 초단기자금에 의존하여 몇 백 년 동안 사용할 초고층빌딩을 짓기 시작하였다. 한국 경제 전반에 걸쳐 신용경색(credit crunch) 상황이 벌어지자 순식간에 자금줄이 끊어지고 결국 도산하고 말았다. 단기운용은 단기자금으로 중장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은 장기자금을 이용해야 한다는 평범한 이치를 외면한 결과다.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상하고 적정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일은 가계운용이나 기업경영에 필수사항이다. 수익성 자산과 무수익 유동성을 보유하는데 대한 비용과 편익을 먼 시각으로 분석하고 조화를 이루는 일이 필요하다.

유동성위험 관리에는 자산과 부채 그리고 수익률에 대한 계량적 요인 못지않게 거시경제 흐름을 읽는 시각도 절대 필요하다. 산업구조변화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리고 경기가 침체되어 돈이 돌지 않을수록 유동성위험도 커지기 때문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