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민간분양을 포함하기로 했었던 기존 방침을 바꿔 1300가구 전체 물량을 공공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올해 초 신혼희망타운 700가구, 민간 분양 600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의 지구단위계획을 확정했다. 그런데 최근 입장을 바꿔 민간분양 물량을 임대주택이나 장기전세 등 공공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은 서울시가 약속을 어겼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에 "서울시는 기존 계획대로 성동구치소 개발하라" 등 시에 대한 경고메세지 가득한 현수막을 걸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 부지는 지하철 3호선과 5호선이 교차하는 오금역 인근에 위치해 도심 접근성이 좋은 강남권 알짜부지로 면적은 7만8758㎡ 규모다.
현재 계획은 신혼희망타운 700가구와 민간 분양 600가구 등 총 1300가구로 이뤄져 있지만 시는 부지를 민간에 매각하지 않고 600가구도 공공분양이나 임대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1300가구 모두 공공으로 채워진다.

40년만에 구치소가 사라지고 지지부진했던 개발의 활성화를 기대했던 주민들은 서울시에 원안대로 추진해달라는 입장문을 제출한 상태다.
또 서초구 방배동의 집단 무허가 판자촌인 성뒤마을에서도 민간 분양 물량을 공공분양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서초구의 성뒤마을은 민간 분양 406가구를 포함해 총 940여가구 규모로 계획돼 있다. 시는 이곳에서도 406가구를 공공으로 전환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송파구 의회는 주민반발의 목소리를 모아 계획대로 추진해달라는 건의문을 서울시 등에 제출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토지를 민간에게 매각하는 것 보다 공공이 관리해나가면서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장기적 시장 안정화에 기여한다고 본다"며 "아직 공공 물량으로의 전환이 확정된 것은 아니고 사업성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총 2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