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중소기업 ESG, 선택 아닌 필수…생존 달렸다"

  • 2021.05.28(금) 13:59

[창간기획]ESG경영, 이제는 필수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인터뷰
"ESG 전담팀 신설…현장서 필요한 대책 마련"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 사진=송승현 기자 shsong@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화두는 단연 ESG(환경·사회·지배구조)다. ESG경영 실현 여부에 소비자는 물론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어서다. 투자를 유치해야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ESG가 투자 유치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만큼 ESG경영 체계 마련에 분주하다. 기업들에게 ESG는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된 셈이다. 

반면 중소기업에게 ESG는 아직 먼 나라 이야기다. 당장의 실적이 급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ESG의 중요성을 실감하기 어렵다. ESG경영을 준비할 여력도,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실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ESG 대응 수준은 10점 만점에 4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기업 역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ESG경영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ESG 경영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중소기업중앙회 역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중기중앙회는 조만간 ESG를 전담하는 팀을 신설, 중소기업들의 ESG경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중앙회에서 ESG경영의 중요성을 앞장서서 강조하고 있는 추문갑 경제정책본부장을 만나 국내 중소기업들의 ESG경영의 현실과 향후 지원 전략 등을 들어봤다.

"중소기업, ESG 관심 부족…위협 요인으로 느껴"

추 본부장은 조만간 중소기업들에도 ESG가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대기업들이 너도나도 ESG경영에 나서고 있는 만큼 주로 대기업과 협력하는 중소기업들 역시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춰야 생존할 수 있어서다.

추 본부장은 "한국은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해왔다.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전체의 40%가량이 대기업에 부품 등을 납품하는 수탁 기업"이라며 "결국 대기업이 ESG 경영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 역시 기준을 맞춰야 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 사진=송승현 기자 shsong@

하지만 중소기업들의 경우 ESG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ESG의 특성상 당장 단기적 성과로 이어지기 어렵다. 중소기업들에게 ESG경영이 부담으로 작용하는 이유다. 하루하루 생존하기도 힘든데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게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혹여 ESG경영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해도 재정적인 여력이나 관련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탄소 중립 이슈에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제대로 준비를 시작한 기업은 15%가량에 불과하다"면서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처럼 여유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회 요인이 아닌 위협 요인으로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기업·정부, 교육·컨설팅 등 통해 상생해야"

추 본부장은 이런 현실을 고려해 정부나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ESG경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협력업체와의 동반 성장이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점에서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소기업은 ESG경영 전문 인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기업이 협력 업체에 관련 교육을 해준다거나 컨설팅을 해주는 등의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역시 이런 노력을 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평가를 높게 해주는 등의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 사진=송승현 기자 shsong@

그는 또 중소기업들은 ESG경영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만한 여유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와 정치권의 제도적 보완 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 본부장은 "최근 공정경제 3법이라든지 중대재해처벌법, 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관법(화학물질관리법) 등 규제가 많아지는 탓에 중소기업들이 이런 흐름에 따라가기 버겁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면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ESG에 대한 관심이 또 다른 기업 규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을까 예의주시하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정부가 산업 재해를 줄이겠다면 기업의 노화된 시설을 자동화 시설로 만들기 위한 자금 지원을 해주거나 환경 문제와 관련해 어떤 부분이 화평법이나 화관법을 위반하는 것인지 등을 교육해주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ESG 전담팀 신설…새로운 기회 만들어갈 것"

추 본부장은 중소기업 스스로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당장은 ESG경영을 준수하는 게 규제로 느껴질지 몰라도 제대로 대응을 한다면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는 "ESG경영이 기업을 옥죄는 규제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선투자를 통해 대기업이 바라고 사회가 바라는 부분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라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대응을 잘한다면 대기업은 물론 해외에서도 새로운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사진=송승현 기자 shsong@

추 본부장은 중앙회 역시 조만간 ESG 전담팀을 만들어 중소기업의 ESG경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ESG경영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 대책을 마련해주고, 중소기업의 ESG경영을 돕는 대기업을 홍보해주는 등의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추 본부장은 "현재 중소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부분이 무엇인지 등을 수요 조사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대책을 찾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협력 중소기업과 함께 ESG경영을 하는 대기업에 대해 중앙회가 홍보를 해주는 등의 방식으로 중소기업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ESG경영이 피하고 싶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생존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과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추 본부장은 "ESG경영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규제를 받을 수 있다"며 "반면에 잘만 대응한다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대기업과의 협조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