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가 위치한 봉화군 석포면 인근 지역 등의 지하수의 비소 오염 정도가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포면 옆에 위치한 소천면 일대선 고농도의 불소가 검출되는 등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22년 지하수 오염물질 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51개 기초지자체에서 중금속 등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2018~2023년 사이 지하수 오염 지역 조사에서는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염된 지하수 지역이 다수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의 2023년 2000개 관정 표본조사에서도 61.9%(1237건)가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질 기준에 부적합한 지하수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중금속 물질은 맹독성인 비소였다.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경북 봉화군 지하수에선 15회 수질 검사 중 무려 8차례나 부적합 결과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제련소 인근 비소 오염 실태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것의 의원실 설명이다.
이 밖에 전북 진안, 충북 충주, 경북 울진, 강원 원주, 강원 홍천 등에서 부적합한 지하수들에서도 비소가 확인됐다. 페놀의 경우 경기 이천, 경남 창원, 전남 고흥, 충북 보은 등에서 부적합 사례들이 나타났다.
환경부가 지하수 오염 우려 지역을 선정해 조사하는 지하수오염지역 조사 및 관리 사업에서도 석포제련소 부근의 비소 및 불소 오염 실태가 확인됐다. 한국환경공단이 지난 2022년 실시한 조사에서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일대에서 비소와 불소 항목이 수질 기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했다.
석포면 바로 옆에 위치한 소천면 일대에서도 고농도의 불소가 검출되면서 음용을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 역시 일부 지점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했다.
비소와 불소 외에 대구지방환경청이 33곳의 관정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카드뮴은 공업용수 기준(0.02mg/ℓ)을 최대 3만 배 이상 초과(0.28∼753mg/ℓ)했고 일부 지하수에서는 수은과 납, 크롬 역시 공업용수 기준보다 높았다.
전북 익산 어양동의 제1국가산업단지 인근과 전주 덕진구 일반산업단지인근, 인천 부평구 청천동 한국수출국가산업단지 인근 등에서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북 구미 공단동 구미국가1산업단지, 인천 남동구 고잔동 남동국가산업단지,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일대 산업단지, 청주시 흥덕구 송정동 일대 산업단지에서도 TCE와 PCE가 기준치보다 높게 나왔다.
김태선 의원은 "국민 건강은 물론, 농업과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하수가 중금속과 발암물질에 오염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며 "맹독성 비소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정부는 오염 지역 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지하수 이용 제한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영풍은 의원실 자료에 대해 "봉화 일대는 폐광산이 100여곳 가까이 되는 광산지대로 자연적으로 비소 성분이 높게 검출되는 특성이 있다"며 "지하수 비소 농도는 자연적 오염과 인위적 오염이 구분돼 있지 않고 석포제련소와의 인과관계가 명확치 않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영풍 석포제련소는 2022년 지하수 차집시설을 설치, 공장 하부 지하수의 하천 유입을 원천 차단했다며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지하수 정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1월 기준 석포제련소 하류 지점인 '석포2' 측정값은 아연 0.15044㎎/L, 카드뮴·납·비소는 모두 0㎎/L로 측정돼 주변 하천 수질이 법적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영풍은 앞으로도 더욱 철저한 환경관리와 투명한 소통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신뢰를 이어가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