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도 아시다시피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람입니다. 인구감소 시대에 질적으로 탁월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차별화된 인재 양성체계를 갖추겠습니다."
학자 출신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장관이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디지털 인재를 양성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산업을 키우고, 경제 위기를 벗어날 탈출구까지 모색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다가 이번 정부들어 공직에 입문했다.
이 장관은 2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팬데믹의 여파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이른바 3고 위기에 놓여있다"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은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대한민국의 성장엔진을 점화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라고 말했다.
디지털 분야 성장 동력으론 인재 양성을 꼽았다. 이 장관은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려면 반도체, 이동통신 등 인프라를 갖춘 뒤 플랫폼을 비롯한 응용기술을 키워가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디지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우리나라는 인프라와 역동성을 갖췄지만, 시스템 측면에선 선진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분야를 전공한 학생들이 미국에 포스트닥터(박사 후 연구원)로 많이 나가 있는데, 이들이 기업에서 일한 뒤 우리나라로 돌아오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제안했다.
이 장관은 "과기부가 지금까지 진행한 디지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보니 프로그램 참여후 회사에 취업해 각자 갈 길을 가는 식이었다"며 "앞으로는 매 과정마다 시험을 보고, 재능있는 이들을 개선된 프로그램에 입학시켜 추후 과기부 산하 4대 과기원(KAIST·GIST·DGIST·UNIST)에서 더 공부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재능 사다리'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체계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관계 부처와의 협업도 강조했다. 특히 교육부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력관계를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교육부에서도 여러 인재 양성 계획을 발표했는데, 계약정원제 등으로 교육부를 도왔다"며 "부처 사이에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해당 부처에 전달해 협력관계와 신뢰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계약 정원제란 반도체 등 구인난이 계속되는 일부 분야에 한해 대학에서 관련 학과의 정원을 한시적으로 늘릴 수 있게 허락하는 제도다. 그동안 수도권 소재 대학은 '수도권 정비법'에 따라 입학 정원이 제한돼 있었다. 특정 과의 정원을 늘리면 다른 과의 정원을 줄여야 했지만, 계약 정원제를 도입할 경우 일시적으로 특정 과의 정원을 높일 수 있다.
그는 이어 "제일 중요한 건 인재라고 생각한다"고 재차 강조하며 "디지털 쪽에 천재를 키워야 한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그런 사람들은 100명이 할 수 있는 일을 대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이 장관은 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국가사회 전반에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난제 해결 AI(인공지능) 프로젝트, 디지털플랫폼 정부, 자율성이 높은 바우처 방식 지원 등 민간중심으로 경제, 산업, 사회 전 부문의 디지털 혁신을 이루겠다"며 "통신비 부담 완화와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제고, 플랫폼 상생 생태계 조성 등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5G 중간요금제 도입을 결정한 통신 3사에 감사의 뜻도 전했다. 이 장관은 "국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통신 3사가 중간요금제를 내놓을 생각이 있는 것 같다"며 "회사 내부에서도 여러 고민이 많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럼에도 제안 주신 데에 3사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