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저축은행 가계대출에 주목하는 이유 3가지

  • 2015.06.01(월) 16:25

가계대출 전체 증가속도보다 빨라
"한계계층, 부실가능성 높아 증가속도 조절 필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가 주목받고 있다. 올해 들어 3개월 새 1조 원 넘게 늘어났으니 속도는 제법 빨라 보인다. 증가율로 봐도 전체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크게 웃돈다.

올해 1분기 가계대출이 1000조 원을 넘은 점을 생각하면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 11조 3000억 원은 아무렇지도 않아 보이기도 한다. 실상은 어떨까. 그 규모로 짐작하듯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하지만 좋지 않은 신호로 읽힌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저축은행 이용자들은 은행 이용자보다 신용도와 담보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금리도 훨씬 높은 10% 중반에서 30%대의 고금리로 외부 충격에 따라 부실가능성은 훨씬 크다. 금융당국은 총량규제 대신 구조변경과 미세조정으로 가계부채를 관리하겠다고 했지만, 안심전환대출 이후 별다른 미세조정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당국이 늑장을 부리는 동안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 저축은행 대출 증가 > 전체 가계대출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조 3093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 239억 원 증가했다. 사상 최대 수준이다. 저축은행 사태 직전인 지난 2011년 12월 말 10조 원을 넘어섰지만 이후 구조조정으로 지난해 1분기 8조 원대로 떨어졌다가 최근 많이 늘어나는 양상이다.

문제는 증가속도다. 1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은 1040조 4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2조8000억 원 늘어났다. 증가율로는 1.2%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율은 10%에 달했다. 1년 전인 지난 1분기와 비교하면 전체 가계대출은 7.5% 증가한 데 비해 저축은행은 26%나 증가했다.

저축은행을 제외한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우체국예금 등의 2금융권(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은 올해 1분기 가계대출 증가속도가 늦춰졌다. 줄어들거나 많아야 5000억 원 늘어난 수준이지만 저축은행만이 유일하게 1조 원 넘게 늘어난 것이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출 증가 속도도 그렇고, 은행에서 저축은행으로 옮겨가고 있는 방향 자체도 굉장히 안 좋은 신호로 보인다"며 "앞으로의 흐름을 조금 더 지켜보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신용 혹은 비주택담보 > 주택담보대출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분의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이 아니라는 점도 우려스러운 점이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1분기 가계대출 증가분이 1조 5000억 원인데 이 중에 기타대출 즉, 신용대출이나 상가·토지 등 비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이 1조 9000억 원이다. 그나마 우량한 담보로 여겨지는 주택담보대출은 오히려 4000억 원 감소했다.

공교롭게 같은 기간 예금은행의 기타대출이 1조 9000억 원 빠졌다. 은행에서 대출받지 못한 대출자들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을 찾았고, 그중 대부분을 저축은행에서 흡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팀장은 "결국 한계 계층이 은행에서 2금융권으로 옮겨가는데 주택담보대출 이외에서 가계부채가 늘어났다면 가계의 현금흐름이 안 좋아졌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비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은행에서 대출이 힘든 악성 담보이거나 비우량 담보일 가능성이 크다. 신용대출 역시 저신용자이기 때문에 부실 가능성도 클 수밖에 없다.
 


◇ 은행→저축은행 > 대부업→저축은행

지난해 금융감독원은 대부업계열의 저축은행 인수를 인가하면서 이들 계열의 대부잔액을 줄이도록 했다. 따라서 계열 대부회사의 대출을 줄이는 과정에서 신용등급이 괜찮은 대출자를 저축은행으로 이전한 것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 금감원은 이 비율이 증가분에서 10~15%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오케이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대출의 경우 대부업에서 제도권으로 편입됐다는 점에선 긍정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30% 이상의 높은 금리를 물고 있는 취약 계층이다. 게다가 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은행에서 대출이 힘든 대출자가 저축은행으로 옮겨가거나 저축은행의 공격적인 영업 과정에서 늘어난 대출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이 늘어나긴 했다"면서도 "저축은행업계가 최근 3분기 연속 흑자를 냈듯 구조조정 이후 영업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