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등 증자에 참여한 주주사는 은산분리 규제를 피해 증자를 추진하기 위해 이 같은 방식을 골랐하고 합니다. 증자엔 성공했지만 주주사가 실익을 볼 수 없어 속을 태우는 상황이라고 하네요.
◇ 증자 일정 당기자 주주사 혼란
케이뱅크는 지난 27일 10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했습니다. 올 들어 두 번째 증자인데요. 이번 증자는 당초 내년으로 계획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목표 실적을 예상보다 빠르게 달성하면서 일정을 당겼습니다.
주주사는 당초 계획과 달라지자 당황했습니다. 돈을 언제든 쓸 수 있도록 쌓아둔 게 아니니 갑작스럽게 추진되는 일정에 혼란스러웠을겁니다.
주주사 19곳 중 7곳은 증자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증자 참여 시 받는 신주인수권을 포기하면서 인수되지 않은 실권주가 발생했는데요. 증자를 코앞에 두고 새로운 주주를 영입하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 은산분리 규제 피해 전환주 증자
결국 KT 등 증자에 참여하는 주주사가 실권주를 인수해 예정대로 증자를 진행했습니다. 868억을 보통주로 납입하고 남은 132억원에 대해 전환주를 새로 발행해 인수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전환주는 일정 조건 하에서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주식을 말합니다.
일부 자본금을 전환주 방식으로 확충한 건 은산분리 규제 때문입니다. 이 규제에 따라 비금융주력사로 분류되는 KT 등은 지분을 10% 이상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주식을 추가로 사들이는데 제한을 받습니다.
전환주는 보통주와 달리 지분 비율에 잡히지 않습니다. 그만큼 권리를 제한 받으니 보통주의 '한 단계 아래'로 통합니다. 동시에 지분 규제를 피해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 영향력 못 키우고 돈만 묶여 '답답'
증자에 참여한 주주사 입장에선 지분 비율을 늘려 영향력을 키울 수 없으니 실익을 보지 못합니다. 전환주엔 의결권도 부여되지 않고요. 은산분리 규제가 완화되지 않으면 나중에 보통주로 바꾸지도 못합니다.
KT 등은 이번 전환주 방식 증자에 대해 케이뱅크 발전을 위한 '기회비용'이라며 다독이고 있다고 합니다. 주력 사업자로서 충분한 자본 확충에 책임을 다한 결정이지만 씁쓸하겠지요.
국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특별법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아 은산분리 규제 완화는 요원합니다. 규제 완화 없이는 자본 확충 때마다 잡음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디지털 금융을 선도하겠다며 의욕적으로 나섰지만 국회에 발목이 잡힌 케뱅, 주주들은 속이 타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