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K)뱅크가 연내 주택담보대출 출시를 선언했다. 예정된 수순이긴했지만 금융권의 시각은 반신반의하다. 신용대출과 같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 수 있을지부터 이로 인한 적정마진 확보와 자본여력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우려의 시각은 여전하다.
케이뱅크의 입장에서 보면 현 상황에서 이익을 내려면 자산 확대는 불가피하다. 물론 케이뱅크뿐 아니라 인터넷 전문은행이자 신생은행으로 처한 현실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대출자산 확대를 통해 예대마진을 확보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도 적자를 벗어나기 힘들다. 연체율 혹은 대손비용 관리 측면에서도 분모에 해당하는 자산을 늘려줘야 연체율 상승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다. 신생은행인 케이뱅크 입장에선 자산확대는 절체절명의 과제인 셈이고, 그런 면에서 주택담보대출 출시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주담대는 신용대출보다 신용위험을 줄이면서 자산을 쉽게 늘릴 수 있다. 위험가중치도 50%로 신용대출의 100%보다 낮다. 위험가중치가 낮아 BIS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 등의 자본부담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자산 증가 속도를 고려하면 오히려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상 신용대출보다 주택담보대출의 대출규모가 크기 때문에 증가속도도 빠르다.
문제는 케이뱅크의 경우 은행법 개정(소유규제 완화)이 되지 않는 한 증자 등 자본확충이 원활하지 않다는 데 있다. 자본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출시하는 데 대해 우려감이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예대율(대출/예금*100) 부담도 동시에 커진다. 관련기사☞8000억 vs 3500억, 든든한 카뱅과 다급한 케뱅
대출이 늘어나는 속도 만큼 예금도 안정적으로 늘어나야 한다는 얘기다. 케이뱅크가 우대금리 조건을 단순화한 '주거래우대 정기예금'을 출시하고, 제휴처에서 발급받은 코드만 입력하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코드K예·적금'의 제휴처를 확대하는 등 수신상품 강화에 나서는 것도 이런 배경이 깔렸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한 보고서에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초기부터 대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한 것은 수익성에 대한 부담이 컸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면서 "일본의 인터넷 전문은행이 2011년 예대율 30%에서 2017년 3월말 현재 44.1% 정도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사례와 대비된다"고 말했다. 일본 인터넷전문은행은 예금 기반 하에 대출을 점진적으로 확대했다는 것이다.
여신 쿼터제 도입은 이러한 케이뱅크가 처한 현실에서 나온 고육지책이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도입방안이 나와 있진 않지 않지만 월 단위 등 일정 주기에 따라 쿼터를 정하는 방식으로 대출상품을 운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상품의 안정성이나 영속성 등 기존 은행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이해하기 힘든 제도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소비자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관심이다.
100% 비대면 방식의 주택담보대출을 공언했지만 이 역시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평가다. 시중은행 역시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내놨지만 완전히 비대면으로 이뤄지지는 않고 있다. 가령 한 시중은행의 경우 부동산 신규매입자금에 대한 주담대는 비대면으로 불가능해 사실상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통상 법무사가 진행하는 소유권 이전 등을 비대면으로 진행하기 어렵고, 또 보안일련번호가 없는 등기권리증도 온라인으로 지원되지 않고 있다.
케이뱅크는 주택담보대출과 방카슈랑스 상품을 출시키로 하면서 결국엔 특화영역을 통한 차별화보다는 백화점식의 비즈니스를 택했다. 이처럼 모든 분야에서 기존 은행과 경쟁하게 되면 부작용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