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천장없는 물가' 10년 만에 3%대 상승 전망

  • 2022.02.24(목) 14:14

한국은행,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3.1% 제시
원자재 가격 상승·수요 증가 영향
경제성장은 3%로 전망 유지…회복세 지속

올해 소비자 물가가 3%이상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3%대 물가 상승률은 2012년 4월 이후 10년 만이다. 그만큼 상승세가 가파르다는 의미다.

특히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세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가능성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 전망률은 3%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한은, 올해 물가 상승률 3.1% 전망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

한국은행이 연간 물가 상승률을 3% 이상 오를 것으로 예측한 것은 2012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11월 전망치(2.3%)에 비해서도 0.8%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그만큼 최근 물가 상승률이 컸고, 당분간 현 추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에너지와 원자재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병목 등의 영향으로 물가 상승압력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무엇보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두바이유 기준)대로 상승했고,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체적인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전쟁 가능성이 농후해지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두 국가는 원유 등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다 전쟁 발발시 글로벌 교역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렇게 되면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 병목 현상이 심화돼 국내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면전 등 최악의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이들의 긴장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란 전제를 반영했다"며 "만약 전면전이 된다면 국내 물가의 상승 압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공급요인뿐 아니라 수요측면에서도 물가 상승 압력 요인이 확대되고 있다는 게 한국은행 설명이다.

다만 이같은 높은 물가 상승 가능성에도 한국은행은 물가 관리 목표를 조정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국내 물가를 2%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주열 총재는 "물가 관리 목표는 1년 단위의 단기간 설정하는 게 아니라 중기적 관점에서 운영하는 것"이라며 "중기적으로 2% 유지가 목표라 물가 운영 개선이나 필요사항은 2년 마다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제 성장은 3%…회복세 이어진다

한국은행은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이 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5%이다.

민간 소비는 코로나19 확산 영향에도 소득여건과 소비심리 개선으로 회복흐름이 재개될 전망이다. 특히 정부 지원정책과 누적된 가계저축으로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된 이후에는 민간소비의 빠른 확산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비투자와 지식재산 생산물투자는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역시 토목건설 증가로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고용은 경기회복과 함께 방역정책 완화, 정부 일자리 사업 영향으로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제조업 취업자수는 IT부문 투자 지속과 자동차 생산차질 완화로 소폭 증가하고 서비스업은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아울러 올해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은 줄어들고 서비스수지 적자폭이 확대되면서 흑자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측했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700억달러, 내년 680억달러로 추산됐다.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올해 4%내외에서 내년에는 3%중반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제 성장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는 판단이다. 방역조치 조기 완화와 정부 지원책 확대, 글로벌 반도체 경기 호조 등은 경제성장 요인인 반면 코로나 확산세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차질 완화 지연,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는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