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선이 없는 미래를 믿습니다." 2016년 제품 출시 당시 에어팟 소개 영상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이 문장대로 기기와 물리적 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무선이어폰 시장이 부쩍 크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에어팟으로 대표되는 선이 아예 없어 '코드리스'라 불리는 '완전 무선이어폰'에 사람들이 열광하고 있습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76cc0b14e009c8f5bed4cf9019948b49.jpg)
◇ 완전 무선이어폰이 '대세'
무선이어폰은 국내 시장에서 입김이 커지고 있습니다.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판매된 이어폰 가운데 무선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61%에 이릅니다. 전년 대비 약 3%포인트 늘었습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f874dd5baa338e7845d8bdde579afab5.jpg)
이 기간 유선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41.5%에서 38.5%로 줄었습니다. 무선이어폰이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의미죠.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1/2aad2a2b3245bafe27472822abdd6def.jpg)
그 중에서도 완전 무선이어폰의 몸집이 불어났습니다. 무선이어폰 가운데 완전 무선이어폰 비중은 지난해 약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LG전자 '톤플러스'를 필두로 한 넥밴드형 제품 비중은 1년새 반토막 났습니다. 이어폰을 한 줄로 연결해 목 뒤로 넘기는 백헤드형 제품도 입지가 좁아졌습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5ee991e37b09480b4a750bbe062a2b66.jpg)
완전 무선이어폰 시장은 에어팟이 이끌었습니다.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35% 점유율을 확보했습니다. 그 뒤를 삼성전자 기어 아이콘X(9.9%), 일명 '차이팟(중국+에어팟)'으로 불리는 QCY T1C(7.63%) 등이 이었습니다
◇ 애플에도 '효자'
에어팟은 실적 측면에서도 애플의 효자 상품입니다. 지난해 주력 제품인 아이폰이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 고가 논란으로 '차이나쇼크'를 겪으며 회사가 휘청였던 애플의 부담을 덜어줬기 때문입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ed5fcce62f778ef026d90fa224ca00ee.jpg)
우리나라 회계 기준으로 지난해 4분기에 해당하는 미국 '2019년 회계연도 1분기'에 애플 총 매출은 843억달러로 전년 동기 883억달러 대비 4.5% 줄었습니다. 애플 실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아이폰 매출이 611억달러에서 520억달러로 14.9%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핸드폰 액세서리 등이 포함된 기타제품 실적은 에어팟 효과를 봤습니다. 매출 73억달러로 전년 동기 55억달러 대비 33.3% 늘어 사업군 가운데 실적 증가폭이 가장 컸습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2%에서 8.7%로 올라 아이패드를 제쳤습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98bfe95f53482aaa895937252da31389.jpg)
그만큼 에어팟이 많이 팔렸기 때문입니다. 2016년 출시 초기만 해도 '콩나물을 닮았다', '가격이 비싸다(출고가 159달러, 원화 21만9000원)'며 놀림감으로 전락했던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공입니다.
애플 전문가로 유명한 밍치 궈 TF인터내셔널 증권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에어팟이 2600만~2800만대 판매됐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가 추산한 지난해 전세계 블루투스 헤드셋 판매량(1억1170만대)에서 에어팟 비중은 4분의 1에 달합니다. 귀를 덮는 헤드폰이 아닌 귓 속에 들어가는 블루투스 이어셋만 한정할 경우엔 전체 판매량(3360만대)의 77~83%를 에어팟 혼자 독식했다고 볼 수 있죠.
애플은 앞으로도 에어팟 기세를 이어가려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블룸버그는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기술, 방수 기능 등을 추가한 에어팟 2세대를 애플이 올해 출시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 에어팟 잡아라
에어팟 효과로 시장의 대세가 완전 무선이어폰으로 넘어가면서 여러 업체들도 제품개발에 여념이 없습니다. SA가 무선이어폰 시장이 매년 40% 이상 성장할 것이라 관측한 만큼 에어팟을 따라잡을 기회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입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9/02/22/dc00555b516ca58d8a9b2bc835e2a796.jpg)
핸드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삼성전자도 완전 무선이어폰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빌 그레이엄 시빅 센터에서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9' 행사에서 무선이어폰 '갤럭시 버즈'를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출시한 '기어 아이콘X'에 신기능을 추가한 후속작입니다. 이번에 삼성이 공개한 갤럭시S10 위에 제품을 올려두면 선 없이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한 번 충전하면 음악 재생, 통화 가능 시간이 각각 최대 6시간, 5시간에 이릅니다.
화웨이도 에어팟을 겨냥해 지난해 '프리버드2 프로'를 내놨습니다. 3시간 연속으로 재생 가능하며 이 회사 핸드폰인 '메이트20 프로' 위에 두면 무선 충전이 가능합니다.
무선이어폰이 점점 물리적 한계를 벗어나고 기능도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어떤 형태와 기능으로 소비자들의 귀를 즐겁게 해줄지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