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M&A 결국 없던 일'...이스타항공 앞날은

  • 2020.07.23(목) 14:13

제주, 이스타 M&A 포기 공식화.."불확실성 커"
'완전 자본잠식' 이스타, 청산 수순 밟을 듯
실직대란 및 협력업체 피해 불가피...지자체 지원 여부 '촉각'

국내 첫 항공사간 기업 결합으로 주목받은 제주항공-이스타항공간 인수합병(M&A)이 결국 무산됐다. 이스타항공이 미지급금 해소 등 선행 조건을 이행하지 못하면서 계약 해제 요건이 충족됐다는 게 제주항공의 입장이다.

이로써 2007년 10월 전북 군산을 본점으로 설립한 이스타항공은 출범 13년 만에 폐업 위기에 몰렸다. 1600명에 이르는 직원들 또한 생계 걱정에 시달리게 됐다. 이스타항공에게서 대금 정산을 못받은 협력 업체들의 피해도 불가피해 보인다.

제주항공은 23일 공시를 통해 이스타항공 경영권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해제했다고 밝혔다. 제주항공은 공시 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의지와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에서 인수를 강행하기에는 제주항공이 짊어져야 할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판단했다"며 계약해지 사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주주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피해에 대한 우려도 큰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M&A가 결실을 거두지 못한 것에 대해 안타깝다"는 입장을 내놨다.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은 지난 3월 2일 SPA 체결 이후 계약서 상의 선행조건 이행을 놓고 오랜 갈등을 빚어왔다. 제주항공이 제시한 선행 조건은 이스타항공의 ▲260억원 규모의 임금체불 ▲370억원 수준의 타이이스타젯 지급보증 ▲기타 미지급금 등의 해결 등이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의 여파로 경영 시계가 '제로' 상태가 되면서 이스타항공은 선행 조건 이행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설상가상으로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가에 대한 각종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상황은 더 복잡하게 꼬였다.

결국 이 의원이 이스타홀딩스를 통해 가족이 보유한 이스타항공 지분을 모두 헌납하겠다는 강수를 던졌지만, 합병 무산의 흐름을 바꾸기엔 역부족했다.

이에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0일(10영업일) 이내에 선결 조건을 모두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내용의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어 16일엔 "(마감 시한인) 15일 자정까지 이스타홀딩스가 주식매매계약의 선행 조건을 완결하지 못해 계약을 해제할 수 있게 됐다"며 딜 무산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제주항공은 "정부의 중재 노력이 진행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 해제 최종 결정과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며 딜 클로징(종료) 시점을 미뤘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난 이날, 제주항공이 인수 포기 의사를 공식화함에 따라 4개월 끌어온 이스타항공 M&A는 결국 없던 일이 됐다.

이스타항공은 당장 폐업 위기에 처하게 됐다.

이스타항공의 1분기 기준 자본 총계는 -1042억원의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사실상 자생 능력을 상실한 만큼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되면 회생보단 청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경우 당장 1600명에 이르는 직원들의 생계가 걱정이다. 이들은 6개월 넘게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체불 임금 반납까지 동의했다.

이스타항공으로부터 대금 정산을 못하고 있는 정유사 등 협력 업체들의 피해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들에 대한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규모는 약 12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나마 실낱같은 희망이라면 지자체의 지원 가능성이다. 이스타항공의 소재지인 전라북도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도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이스타항공의 경영 지원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전라도 지역 내부에서 이스타항공 M&A 타결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큰 만큼 지자체의 지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며"일부 자금 지원이나 경영 재개 수준에서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