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문제를 다루는 세미나에서 기술·제도 개선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배터리 재활용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슈다.
증가하는 폐배터리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제조·재활용 기술 개발과 민간사업 확대 방안'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재훈 민테크 전무는 "전세계 폐배터리 시장 규모는 2019년 1조6500억원에서 2030년 20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며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42만4477개가 발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규제에 따라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터리 재활용 문제는 크게 부각될 것이란 전망이다. 전기차 배터리를 매립·소각하면 오히려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재활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30년 414만대에서 2040년 4636만대로 급증할 전망이다.
이는 배터리 용량 기준으로 2030년 345기가와트시(GWh), 2040년 3455GWh다. 금액 기준으론 2030년 6조원, 2040년 66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제도 기반 부족해
문제는 배터리를 재활용하는데 필요한 여건이 열악하다는 점이다.
이재훈 전무는 "배터리 검사와 진단 시간은 15~20시간 걸리고, 100만원 정도 하는 배터리를 1회 검사·진단하는 비용이 100만원에 달한다"며 "향후 시간은 15분 이내로, 비용은 회당 10만원 이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사·진단 비용 탓에 기대되는 이익이 현저히 낮은 점은 민간 기업의 사업 의지를 꺾는 요소가 된다. 이와 함께 배터리 검사·진단 공정 및 관련 장비의 표준화 작업도 요구된다.
배터리 제조사들이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구조를 공개하지 않아 민간 기업뿐 아니라 정부도 배터리 검사·진단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BMS는 일종의 센서로 배터리 전압과 온도 등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김유탁 한국전지산업협회 본부장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제도적 절차와 안전성을 검증하는 방안이 없다"며 "재활용 제품의 안전성을 관리하는 체계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술적 측면에서 개선할 대목도 있다. 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등을 추출하는 성일하이텍 변석현 이사는 "현재까지 전기차 배터리 약 3만5000대를 해체하면서 아직 자동화를 이루지 못했다"며 "해체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인데, 앞으로 협동로봇을 통해 부분 자동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