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이 보편화하는 시대에 맞춰 우리 산업이 나아갈 길을 함께 고민한다. 이를 위해 AI 산업정책위원회를 구성, 매달 신산업 정책을 수립하고 가장 먼저 AI 자율공장을 통한 생산공정 혁신에 나서기로 했다.
매달 6개 분야서 AI 전략 마련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8일 AI 시대의 신산업정책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내놨다.
정부는 AI를 활용한 산업 혁신을 위한 정책 과제들을 도출하기 위해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 'AI산업정책위원회'를 구성했다.
AI산업정책위에는 국내 AI 분야 산학연 전문가 200여 명이 향후 6개월 간 작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AI기술 발전 전망, 미래산업 변화, 표준 및 정책 제언 등 4개 파트로 총괄 분과를 구성해 민간전문가 주도하에 통찰력 있는 전망과 기탄없는 정책 제언을 담아낸다는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산업부 주도로 자율제조, 디자인, 연구개발, 에너지, 유통, AI 반도체 등 6대 분야별 전략을 마련하고 AI산업정책위원회를 통해 매월 발표할 예정이다.
AI 자율제조에 1천억 투입
정부는 6대 분야의 첫째 과제로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발표했다. AI 자율제조란 AI를 기반으로 로봇·장비 등을 제조 공정에 결합시켜 생산 고도화와 자율화를 구현하는 미래 제조환경을 말한다. 인구구조 변화, 탄소중립, 생산성 저하 등 제조업을 둘러싼 난제들을 해결할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는 AI 자율제조 도입 확산, AI 자율제조 핵심역량 확보, 생태계 진흥의 3개 전략을 축으로 올해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현재 9%에 불과한 AI 자율제조확산률을 2030년 30%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제조 생산성을 20%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대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추진된다. 산업부는 상세 공정분석을 통해 AI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해당 프로젝트에 소프트웨어(SW)·로봇·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10개 사업을 우선 선정, 올해중 1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 선정시 지역 특화산업 등 지자체 수요도 적극 반영한다. 향후 2028년까지 지원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선도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기술들이 집약된 '업종별 첨단 AI 자율제조 공장 모델'도 구축 검토 중이다.
아울러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AI 자율제조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특히 AI 결합을 통해 생산 고도화의 핵심 역할을 하는 로봇 분야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을 신규로 시작해 2000억원을 투입하며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자율제조 테스트베드 구축도 검토 중이다.
핵심역량 확보 위해 민간 투자 5년간 1조 유치
업종별 AI 자율제조에 필요한 핵심 역량 확보를 위해 민간 투자를 적극 유치해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R&D) 자금은 기계·로봇, 조선, 이차전지, 반도체 등 주력 제조업의 공정 자동화, 디지털 트윈 등 가상제조, 유연 생산 등에 집중 투입될 계획이다.
업종별 특화기술 외에 AI 자율제조의 3대 공통 핵심기술인 산업 AI, 장비·로봇, 통합솔루션 개발을 위해 올해말까지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3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를 기획해 추진할 계획이다.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도 적극 지원해 1만3000명의 전문인력과 250개 이상의 전문기업이 육성된다. 또한 AI 자율제조 확산의 걸림돌이 될 법·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반도 상반기 중 출범하며 프라운호퍼 등 선진 연구기관과 국내 연구단체·학계 간 업무협약(MOU)도 체결해 공동 연구개발, 표준마련, 실증 등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상반기 중 민·관·연 공동 추진 기구로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구성·운영한다. 이 기구는 AI 자율제조의 확산, 연구개발(R&D) 등 협력사업, 산업 데이터 공유·활용, 법·제도 개선 등 AI 자율제조 관련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처와의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