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게임산업 재도약하자"…규제완화·글로벌화 한목소리

  • 2017.05.30(화) 17:07

'성장성 위축된 게임 살려라'
새 정부들어 토론회 잇따라

▲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30일 서울 삼성동 엔스페이스에서 '한국 게임 산업 재도약은 가능한가'를 주제로 '굿인터넷클럽 4차 행사'를 열었다.[사진=김동훈 기자]

 

성장성이 위축되고 있는 국내 게임 산업을 다시 일으키려면 정부의 규제 완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 게임 개발 등 업계 내부 개선책도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95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성장률이 25.77%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5년 성장률 40.92%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이다.

 

최근 게임 산업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의 경우 개발 기간이 짧고 비용도 낮은 특성에 따라 개발사와 출시 게임의 급증으로 시장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 규제는 여전하고 중국 등 외국 게임사들이 약진하면서 국내 게임사들이 부진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30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서울 삼성동 엔스페이스에서 '한국 게임 산업 재도약은 가능한가'를 주제로 개최한 '굿인터넷클럽 4차 행사'에서도 규제 개선을 촉구하고 업계 내부의 개선책 마련을 주문하는 의견이 쏟아졌다. 

게임사 웹젠의 의장이었던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과거 국내 온라인 게임이 시장을 선도했던 것과 달리 요즘은 중국 등을 쫓기에 급급하고, 국내 시장만을 타깃으로 하는 업계 분위기가 지금의 게임 산업 위기를 초래했다"며 "국내만 보고 게임을 개발해선 살아남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인디 게임 개발사인 나날이 스튜디오의 박민재 대표는 김 의원의 '글로벌 지향론'에 동의하면서도 "다양한 게임이 양산돼 성장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는 게임 선도기업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작은 게임 개발사의 경우 수익성과 작품성 사이에서 고민한 끝에 생존을 위한 방안을 택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나 모호한 게임 등급분류 기준으로 인해 국내 게임 출시를 회피하고 있는 현실도 털어놨다.

 

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강제적 셧다운제, 결제한도 제한 등 기존의 불합리한 규제를 폐지 또는 완화하고 업계 스스로 주체가 되어 책임을 지는 자율규제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과 게임산업의 결합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도 게임 산업의 재기를 위한 조언들이 잇따라 나왔다.

 

위정현 콘텐츠경영연구소장은 양극화가 진행된 게임 업계를 지적하면서 "메이저 게임 기업의 노하우 공유와 협력 등을 통한 상생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일본 도요타는 모기업과 하청기업 간 분업적 협력관계를 형성해 원가 절감에 나섰는데 이러한 노력이 우리 게임 업계에서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진완 중앙대 교수는 "앞으로는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게임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게임 연구개발(R&D)의 경우 기술보다는 콘텐츠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처럼 게임 산업의 재기에 거는 목소리가 쏟아지는데는 새 정부의 정책 변화에 거는 기대감도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게임은 영화, 음악과 달리 진흥보다는 규제가 많았던 산업이었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게임산업 진흥을 위한 공약을 내놨다"며 "새로운 먹거리 산업인 게임을 재도약 시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도권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