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한수연 기자] 국내 게임사들이 당장의 게이머들뿐만 아니라 잠재적 게이머를 위한 산업 전략을 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더 많은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는 게임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윤태진 연세대 교수는 15일 부산 벡스코에서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가 개최한 '2024 플레이 펀앤굿 포럼'에서 '건강한 게임사-게이머 커뮤니케이션 복원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를 했다. 윤 교수는 "주류 소비자만을 위한 산업은 성장할 수 없다"며 "돈을 당장 쓰지는 않지만, 잠재적인 소비자, 즉 게이머를 대상으로 산업 전략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의식이 나온 건 우리나라 게임사업이 결제를 유도하는 '패이 투 윈(Pay to win)' 모델에 의존해왔기 때문이다.
윤 교수는 "불법 복제 등 각종 문제로 온라인 게임이 시작됐는데 이를 유지하기 위해 플레이 과정에서 추가 결제를 유도하는 모델이 보편화됐다"며 "소비가 없는 게이머에 대한 관심은 줄고 게이머들은 돈에 의해 계층화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는 게임 산업의 지속성 측면에서 매우 근시안적인 방향이라는 게 그의 평가다. 윤 교수는 "게임사들이 당장의 이익 실현을 위해 게임 문화나 산업의 지속 가능성이 훼손되는 것을 개의치 않은 탓"이라며 "게임은 많은 사람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산업이자 문화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그는 게임사는 궁극적으로 수익 위주가 아닌 즐거움을 주는 게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주류만을 위한 산업이 성장할 수 없듯이 잠재적인 게이머를 위한, 즐거움을 주는 게 목적인 게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