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내 왕국의 모든 국민들이 일요일마다 닭고기를 먹기를 원하신다"
프랑스 부르봉 왕조의 시조인 앙리 4세가 했다는 말이다. 해석하자면 국민들에게 매주 닭 한 마리씩 먹게 해주겠다는 공약을 한 것이다. 신교도와 구교도 사이의 종교 전쟁을 마무리 지은 앙리 4세는 풍요로운 프랑스 건설을 약속했다. 그중 하나가 일요일마다 먹는 닭이었는데 여기서 비롯된 요리가 유명한 프랑스 찖닭, 코코뱅(coq au vin)이다.
'포도주에 잠긴 수탉'이라는 뜻의 코코뱅은 냄비에 닭고기와 각종 채소를 썰어 넣은 후 와인을 붓고 장시간 졸여서 포도주 향이 스며들도록 만든 음식이다.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 모두 다르지만 얼핏 우리의 닭볶음탕이라는 닭도리탕, 내지는 안동찜닭과 닮았다.
코코뱅은 프랑스 농민들이 주로 먹었던 요리에서 비롯됐는데 대중적인 음식에서 출발해 프랑스 국민 모두가 즐겨 먹는 요리로 발전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수탉이 프랑스를 상징하는 동물이기 때문인지, 지금도 프랑스 대표요리로 유명하다.
이야기가 잠깐 벗어나지만 프랑스는 왜 미국이나 독일처럼 용맹스런 새인 독수리가 아닌 수탉을 나라의 마스코트로 삼았을까?
따지고 보면 우리 역시 닭이 나라의 상징이었던 적이 있다. 바로 신라였는데 역대 신라왕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났을 때 숲속의 닭이 울어 왕의 탄생을 알렸기 때문에 신라를 계림이라고 불렀다. 신라인에게 닭은 이렇게 상서로운 영물이었다.
프랑스에서도 예전에는 닭을 영물로 여겼다는데 수탉이 프랑스의 상징이 된 데에는 이유가 있다. 고대 프랑스는 골(gaul)족이 살던 땅이기 때문에 로마에서는 프랑스를 갈리아라고 불렀다. 그런데 갈리아의 어원이 되는 라틴어 갈루스(Gallus)에는 갈리아 사람들이 사는 곳이라는 의미와 동시에 수탉이라는 뜻도 있다. 프랑스인들이 수탉을 나라의 마스코트로 삼게 된 까닭이다.
다시 음식 이야기로 돌아와서 프랑스 사람들은 왜 암탉도 아닌 질긴 수탉을 이용해 닭요리를 만들었을까? 앙리 4세의 약속과도 관련이 있는데 앙리 4세는 어떻게 국민 모두가 먹을 수 있을 만큼의 많은 닭을 갑자기 조달할 계획이었을까? 국가재원을 총동원해서 양계산업이라도 육성할 생각이었을까?
전 국민이 일요일마다 닭고기를 먹도록 하겠다는 공약의 배경에는 프랑스 마스코트인 수탉이 있었다. 늙은 수탉은 고기가 질겨 맛이 없다. 때문에 귀족과 부자는 연하고 부드러운 어린 암탉을 먹었다.
비싼 영계를 먹을 수 없었던 도시 서민과 시골 농민이 일요일에 닭고기를 먹는 방법은 늙은 수탉을 먹는 것이다. 수탉을 오랜 시간 동안 와인으로 끓이거나 조리면 살이 부드러워져 어린 닭고기만큼이나 맛있는 닭요리가 된다.
그러니까 프랑스의 찜닭요리 코코뱅은 앙리 4세가 없는 닭의 공급을 갑자기 늘려 만들어진 요리가 아니라 농민들이 질 낮은 재료로 최선의 요리를 창조해냈던 것이다. 코코뱅은 이렇게 프랑스 농민들이 만들어낸 요리다. 하지만 앙리 4세의 역할도 무시할 수는 없다. 공약의 실현 가능성 여부를 떠나 농민도 일요일마다 닭고기를 먹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지방 선거 계절이다. 정치의 본질은 먹을 것을 하늘로 삼는 백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공약으로 헛소리가 아닌 희망을 제시해 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