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아파트공사 '첫삽' 줄고 '마무리' 증가…의미는?

  • 2017.09.26(화) 14:52

주택공급 인허가·분양 '급감'..준공은 '급증'
규제강화 속 공급시차로 지역별 시장 온도차
수도권 미분양 약 10년만에 1만가구 아래로

주택시장에서 사업 초기단계인 '인허가', '분양' 등은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마무리 단계로 입주로 이어지는 '준공'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에 2~3년이 걸리는 주택공급 시차가 벌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공급이 부족해 수요를 자극하거나, 반대로 공급이 많아 물량이 남는 등 수급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수도권 미분양은 감소세를 이어가며 약 10년만에 1만가구 아래로 내려간 반면 지방 미분양 규모는 정체상태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전국 주택 인허가실적이 4만8502가구로 전년 동월 5만4832가구 대비 11.5%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 5년(2012~2016년) 평균 4만8835가구와는 비슷한 수준이다. 올들어 8월까지 누적 인허가량은 39만6469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9% 감소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8월 인허가 물량은 지역별로 수도권 2만2378가구, 지방은 2만6124가구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전년대비 8.4%, 지방은 14.1% 감소한 수준이다. 주택유형중 아파트는 3만3301가구로 작년보다 7.2% 줄었고, 아파트외 주택(단독·연립·다가구 등)은 1만5201가구로 19.8% 감소했다.

 

▲ 자료: 국토교통부

 

8월 착공은 전국 5만1554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만7748가구로 8% 증가했다. 그러나 1~8월 누적 착공은 31만1098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4% 줄었다. 누계 기준 수도권 착공은 15만527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2% 감소했고, 지방 착공은 15만5823가구로 22.6% 줄었다.

 

8월 분양(승인)을 받은 아파트(공동주택)은 전국 2만3992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5.8% 줄었다. 1~8월 누계로는 19만2910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9.7% 급감한 수준이다. 올해 누계 기준 수도권 분양은 10만4538가구, 지방 분양은 8만8372가구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2.7%, 36.5% 감소했다.

 

이처럼 주택사업 초기 단계의 인허가, 착공, 분양 물량은 크게 줄었지만 공사 마무리 단계인 준공은 증가세가 뚜렷했다.

 

8월 전국 주택 준공 실적은 5만1587가구로 작년 같은 달(4만4141가구)보다 16.9% 급증했다. 이 가운데 아파트는 3만5148가구로 전년 대비 33.7%, 지난 5년 평균 대비 60.3% 늘었다. 1~8월 누적 준공물량은 35만3221가구로 작년 1~8월보다 8.5% 증가했다. 2~3년 전 착공 및 분양 물량을 감안하면 주택시장 준공 물량은 올 4분기 크게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8월 준공 물량은 지역별로 수도권 2만9712가구, 지방 2만1875가구였는데 수도권의 경우 작년 같은 달에 비해 32.2% 급증했다. 1~8월 누적 준공 물량은 수도권 16만8266가구, 지방 18만5955가구 등으로 각각 전년동기대비 1.7%, 15.4% 증가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작년까지 주택 공급물량이 많았던 데다 정부가 주택정책 규제강화를 펴고 있어 당분간 신규 주택사업 착수는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주택공급 시차와 공급물량 차이에 따라 지역별로 분양·매매시장 온도 차이도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자료: 국토교통부

 

한편 전국 미분양 물량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8월말 전국 미분양은 5만3130가구로 1개월새 2.1%  감소했다. 준공후 미분양은 9928가구로 7월말도 1.3%(128가구)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은 9716가구로 전월말보다 2401가구(19.8%) 감소했다. 2007년 10월말(9880가구) 이후 9년 10개월만에 처음으로 1만가구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올 들어 서울지역 집값 상승이 장기 미분양 물량 해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지방 미분양은 4만3414가구로 전월말보다 1249가구(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