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공공분양 사전청약에 6만8000여 명이 몰렸다. 16.4대 1의 경쟁률이다. 가장 인기 있는 지역은 하남교산으로 5만5000여 명이 신청, 52.4대 1로 역대 최고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과천주암의 경우 해당 지역 100% 공급인데도 불구하고 34.6대 1이라는 이례적인 경쟁률을 기록했다. 신혼희망타운은 최종 3.3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다. '수익공유형 모기지'와 작은 평형 등이 여전히 발목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8/12/21/MD201812211550045_wmark.jpg)
국토교통부는 올해 3차 공공분양 사천청약 신청을 접수받은 결과 약 6만8000명이 신청했다고 10일 밝혔다. 최종 경쟁률은 16.4대 1이다.
우선 공공분양주택에는 1995명 모집에 6만1111명이 신청해 30.6대 1을 기록했다. 특별공급 경쟁률은 16.7대 1, 일반은 79.5대 1이다.
이 중 3기 신도시인 하남교산의 경우 52.4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그간 사전청약을 통해 공급한 신도시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이기도 하다. 1056명 모집에 5만 5374명이 몰려 역대 가장 많은 신청자 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에 하남교산에서 나온 평형 가운데 가장 넓은 전용 59㎡ 경쟁률이 67.4대 1로 가장 높았다.▷관련기사: "3기 신도시, 하남교산 살고 싶어요"(8월9일)
과천주암 지구 역시 인기를 끌었다. 114명 모집에 3944명이 몰려 34.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과천주암은 해당 지역 100% 공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경쟁률이다.
양주 회천은 825명 모집에 1793명이 신청해 2.2대 1의 경쟁률에 그쳤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1/12/10/4e42e16fd87dc4c091b7a7dfa32c3942.jpg)
공공분양에 신청한 연령대 비율을 보면 30대가 절반(48.3%)가량으로 가장 많았다. 40대는 23.8%, 50대 12.6% 순이었다.
신혼희망타운에는 2172명 모집에 7191명이 신청해 3.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국토부는 앞서 신혼희망타운 해당 지역 거주자 대상 접수에서 대부분 마감을 못하고 수도권 거주자 추가 접수를 진행한 바 있다.
그나마 입지적으로 서울 서초구와 맞닿아 인기지역으로 꼽히는 과천주암은 4.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시흥하중은 1.5대로 1로 겨우 미달을 면했다.
신혼희망타운에도 30대 비율이 74.2%로 가장 많았다. 20대는 13.5%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신청자에 대해 청약통장 적정 여부 확인 등을 거쳐 오는 23일 당첨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소득·무주택 등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추가로 심사할 계획이다.
올해 사전청약 중 최대 물량이 공급되는 4차 사전청약은 12월 말 청약 공고를 낸다. 남양주왕숙 2300가구, 부천대장 1800가구, 고양창릉1700가구 등 1만 3600여 가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