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생리대 전수조사를 놓고 고심중이다.
한 시민단체가 강원대학교 연구팀에 의뢰한 안전성 검사 결과(아래 표 참조)로 깨끗한나라의 생리대 제품 '릴리안'이 집중포화를 맞은뒤,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생리대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는 압박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식약처는 이런저런 사정을 토로하며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일단 지난 10월부터 진행중인 '유행물질 위해평가'와 5개 제조사의 제조공정에 대한 현장조사부터 진행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식약처 "진행중인 유해물질 위해평가-제조현장 조사부터"
식약처는 지난해 10월부터 진행중인 생리대제품 위해평가를 올해 11월까지 마무리짓기로 계획했으나 이번 파문으로 조사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다.
위해평가는 생리대에 함유 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 104종(휘발성유기화합물 86종·농약14종)에 대해 조사한다. 생리대에서 검출되는지, 얼마나 검출되는지, 검출되는 양이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주요 평가대상은 휘발성유기화합물중에는 톨루엔, 벤젠, 클로르포름 성분이, 농약에서는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시네이트 성분 등이 대표적이다. 생리대의 경우 이 같은 물질이 검출되는 주된 원인이 접착제로 알려져 있다.
식약처는 또 지난 24일부터 5개 생리대 제조사 생산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현장조사 대상은 ▲유한킴벌리 ▲LG유니참 ▲깨끗한나라 ▲한국피앤지(P&G) ▲웰크론헬스케어가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다.
현장조사에서는 제조공정 과정에서 ▲접착제 등 원료 및 제조공정의 허가 준수사항 여부 ▲원료 및 완제품 품질검사의 철저 수행 여부 ▲제조·품질관리 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한다. 위반사항이 적발되면 제품 회수 등 관련 행정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국내 전체 여성생리용품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 생산액과 수입액을 통틀어 3252억원대다. 또 올해 5월말 현재 식약처에 허가된 패드형 생리대는 총 1534종이다. 이 가운데 1047종이 국내기업 27곳에서 제조된다.
식약처가 현장조사중인 국내 5개사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은 113종인데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실에 따르면 ▲유한킴벌리 57% ▲LG유니참 21% ▲깨끗한나라 9% ▲한국P&G 8% 등이다. 다만 유한킴벌리는 회사 점유율이 온·오프라인을 합쳐 40%대(칸타패널 기준)라고 주장하는 등 정확한 통계가 없다.
◇ 전수조사 요구 높지만 실무상 '일단 스톱'
전수조사는 식약처가 지난 10월부터 진행해오고 있는 '생리대 유해물질 위해평가', 지난 24일부터 진행중인 '5개 제조사 생산공정 현장조사'와는 다른 조사다.
국내에서 생산돼 시장에 판매되고 있거나 판매될 예정인 모든 생리대에 대한 조사를 뜻한다. 식약처는 이번 사태와 별개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생리대중 대표적인 제품 40여개에 대한 품질조사를 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릴리안'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이 제품을 포함해 총 53종을 품질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단체 등에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1047종에 대해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여성환경연대는 "검출된 피부자극·유해물질 중 특히 스타이렌과 톨루엔은 생리 주기 이상 등 여성의 생식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식독성 물질"이라며 "식약처는 현행 일회용 생리대 허가기준뿐 아니라 각종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사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식약처는 선뜻 전수조사를 약속하지 못하고 있다. 이미 위해평가와 현장조사를 진행중인데다 9월 정기조사에 문제가 릴리안 등을 포함시켰기 때문에 조사를 더 확대하기가 버겁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지난번 달걀 문제로 실시된 전수조사에는 식약처 직원 500명 이상이 투입됐다"며 "일반화하긴 어렵지만 통상 전수조사를 할 경우 지방청 등 인력이 많이 동원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요구가 높은만큼 검토중이지만 시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업계에서는 여성환경연대가 깨끗한나라의 '릴리안'과 함께 안전성 검사를 의뢰한 10종의 제품중 릴리안만 집중포화를 맞고 있는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여성환경연대가 깨끗한나라의 '릴리안'과 함께 안전성 검사를 의뢰한 10종의 제품중 릴리안만 집중포화를 맞고 있는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생리대 제조업체 한 관계자는 "안전성 문제를 제기한 시민단체에서도 릴리안 외 나머지 9개사 제품에 대한 위해성 결과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여성환경연대는 자체적으로 의뢰해 받은 생리대 위해성 조사결과가 일부 업체만을 대상으로 이뤄진 탓에 공정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어 구체적인 제품명은 밝히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