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금융당국 수장들 "지분형 모기지 도입"…정책금융 축소 의견도

  • 2025.04.03(목) 18:59

이창용 김병환 이복현 컨퍼런스 특별대담
"역세권 등 좋은 입지서 성공 사례 낼 것"

부동산으로 금융이 집중되는 문제에 대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분형 모기지 도입'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등 금융당국 수장들은 3일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부동산 신용집중: 현황,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 같은 의견을 내놨다.

이날 회의에는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회장과 6대 은행장(KB·신한·하나·우리·NH·IBK) 및 부행장 등도 참석했다.

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부동산 신용 집중' 공동 정책 컨퍼런스에 참석한 (사진 왼쪽부터) 이항용 금융연구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한국은행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대출을 규제하면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대출 규제가 시장 안정에 미치는 효과는 일정 기간에 그친다"면서 "지금보다는 금융이 좀 더 사업성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게 적합하고 또 그런 측면에서 지분형 모기지론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분형 모기지는 주택의 소유권을 개인과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 등 정책금융기관이 나눠 갖는 제도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이 1억인 무주택자가 10억짜리 주택에 들어간다고 할 때 은행에서 4억을 빌린다고 가정하면, 주금공이 이 집의 지분 50%를 취득해 나머지 5억원을 충당하는 방식이다. 초기 투입 자본을 줄일 수 있다. 이게 보편화되면 주택 매입에 쏠리는 자금 비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추후 임대인은 주금공이 갖고 있는 지분만큼 사용료를 지불하면 된다. 사용료는 은행 이자보다 낮게 책정하자는 게 금융위의 목표다. 소득 여유에 따라 임대인은 주금공이 보유한 지분을 자기지분으로 옮겨올 수도 있다.

이창용 총재는 지분형 모기지 도입에 공감하면서 "(은행 주택담보대출에 치우친) 부동산금융의 큰 틀이 바뀌는 방안일 것"이라면서 "역세권 등 아주 좋은 입지의 주택에서 먼저 시도해 성공 사례를 보여주는 게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 총재는 정책금융의 총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짚었다. 

그는 "정책금융으로 저소득층이나 신혼부부, 무주택자를 도와주는 건 정치적으로는 맞다"면서도 "(부동산 쏠림현상 해소를 위해서는) 저소득층만 받아주고 나머지는 줄여서 다른 사업으로 자금이 융통될 수 있게 해야 전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잠재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을 우려하며 "부동산으로 금융이 쏠리는 건 경제성장 하방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상반기 내지는 연내 방향성을 잡아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부동산 신용규모는 1932조5000억원으로 2014년 이후 연평균 100조5000억원씩 증가했다. 다만 부동산은 투자 대비 자본생산성이 낮아 경제 성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