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은 최근 해양플랜트의 정밀한 오차 측정을 위해 ‘3D 스마트 정도(精度)관리 시스템’을 개발, 이를 제작 중인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광파(光波)거리측정기와 함께 3D 스캐너를 병행 사용해 해양구조물의 입체영상을 만든다. 이루 이를 자동으로 3D 설계도면과 비교, 오차를 분석하는 첨단 IT기술을 접목했다.

3D 스캐닝 기술은 3D 스캐너로 레이저를 대상물에 투사해 얻은 디지털정보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최근 문화재 실측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해양구조물에 초당 약 100만 개의 레이저 빔을 3밀리미터 간격으로 발사해 입체영상을 만든다. 이를 통해 해양구조물의 전체 모습을 한꺼번에 측정해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광파거리측정기만으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오차를 찾아내 더욱 정밀한 교정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해양구조물 1개 당 오차 측정시간이 기존 10시간에서 2시간으로 줄어 생산성 향상됐다.
김정생 현대중공업 해양 사업기획·지원 총괄 전무는 “3차원 스마트 정도관리 시스템은 제품의 품질관리 수준을 크게 높여 발주처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향후 해양플랜트 제작 전 공정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