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처럼 주식투자 후 시세차익만 노리는 것이 아니라 경영진 결정에 따른 기업가치 변화에도 주목하며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경영진들도 이 같은 주주들이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주주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마련에 분주하다. 이를 통해 주주자본주의가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대기업들이 내세우는 주주친화정책 의미와 내용, 보완할 점 등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국내 기업들의 주주 친화정책은 지배구조 개선과 투명경영, 주주권익 보호를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특히 주주들의 의견을 경영 현안에 반영하려는 노력은 대주주(오너 일가) 중심의 경영 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경영권 승계가 마무리되고 지배구조가 안정되면 오너일가의 일방통행식 경영권 행사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주주들은 여전히 주주 친화정책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 주주 친화정책은 계속될까
최근 경영권 승계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한 기업들은 주주들을 위한 정책을 펼치며 시장에서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지난해 제일모직과 합병에 성공한 삼성물산은 엘리엇과의 대결이 한창일 때 거버넌스위원회 설치 등 주주 친화정책을 강화하겠다는 당근책을 제시하며 소액주주들의 표심을 얻었다. 현대차 역시 한전부지 고가매입 논란을 막기 위해 주주들의 요구를 수용했다.
하지만 기업들이 경영권 승계나 지배구조 개선 등 바라던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주주 친화정책 대신 경영권 강화정책으로 돌아설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대주주 입장에선 주요 경영사안에 대해 주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커질 경우 경영권에 위협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과거 기업들이 주주 친화정책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지만 경영권 승계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한 지금에서야 주주들을 챙기는 모습은 투자자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
송민경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조사연구팀장은 "국내기업들은 아직까지 외국인 투자자는 물론 국내 투자자들과의 신뢰 관계가 깊지 않은 상태"라며 "거버넌스위원회가 설립됐지만 위원회 구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만큼 본래 취지에 맞게 제역할을 해야 주주 친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 대주주 의지+가시적 성과 필요
이처럼 주주 친화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선 대주주의 의지가 중요하다. 경제개혁연대 관계자는 “외부 주주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대주주 일가가 솔선수범해 시장과 국민의 신뢰를 쌓아가야 한다”며 “대주주 일가를 포함한 경영진들이 주주 친화정책을 일관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주주 친화정책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으려면 제도화는 물론 가시적인 성과도 뒤따라야 한다.
송민경 팀장은 "주주 친화정책을 제도화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주주 친화정책이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주주들의 의견을 실제 경영에 반영하고, 위원회 활동을 외부에 알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관투자자들도 외국 투자기관처럼 기업 경영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등 주주권리를 적극 행사해야 한다"며 "기업 역시 주주들의 요구를 수용해 주주와 기업 간의 소통이 자유롭게 이뤄지는 시장 분위기가 형성돼야 주주 친화정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소액주주의 의결권 보호 등 주주 친화정책이 기업가치를 높이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경영학회는 ‘소액주주의 의결권 보호제도가 배당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소액주주의 의결권 보호제도를 도입한 기업들은 이전보다 기업가치가 높아졌다”며 “이는 소액주주 의결권 보호제도를 통해 대주주들이 사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 현금흐름을 감소시키고, 경영 성과가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