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빌라 투자하세요~'
오세훈표 재개발 규제완화 정책이 나온 직후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에 투자 홍보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재개발 및 뉴타운 해제 지역의 사업 활성화가 예상되면서 아파트에 비해 가격이 낮고 부동산 규제에서 자유로운 비아파트 주거시설 위주로 투자 기대감이 나오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빌라·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가 서민들의 대표 주거지인 만큼 더 구체적이고 강도 높은 투기관리 대책을 조속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1/05/27/8bfd40699ca4afcab38e7e61cb6b5ffc.png)
재개발 활성화 목전…투자자들 관심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6일 '재개발 6대 규제완화방안'을 발표하면서 재개발·뉴타운 해제지역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대책은 지난 2015년부터 서울 내 신규 지정된 정비구역이 '제로'(0)였던 만큼 재개발 진입 장벽을 낮춘 게 골자다. ▷관련기사: 오세훈표 첫 규제완화, 재개발 족쇄 풀기…'뉴타운' 재시동?(5월26일)
특히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재개발해제구역 중 노후지역 신규구역 지정 등의 대책 시행에 따라 노후 주거지나 옛 뉴타운 해제지역이 많은 강북 지역의 재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서울연구원이 지난 3월 발행한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 안전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해제지역 386곳 중 성북구가 34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랑 32곳 ▲종로 26곳 ▲동대문 25곳 ▲강동 25곳 ▲강북 23곳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제지역 내 30년 이상 사용 건물 비율은 47.4%, 40년 이상은 21.4%로 노후 건축물 비율도 높다. 강북구, 성북구 등은 30년 이상 건축물 비율이 50% 이상인 구역도 다수 포진돼 있다.
당분간 이들 지역의 재개발 사업 신청이 봇물처럼 밀려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투기방지 대책을 병행 추진해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재개발구역 지정을 공모할 땐 공모일을 '권리산정기준일'로 고시하기로 했다. 고시일 이후 투기세력의 분양권 취득을 위한 지분쪼개기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관련기사: [집잇슈]공공재개발 투자, 권리산정기준일은 알아보셨나요?(1월7일)
재개발구역 후보지가 선정되면 분양권이 없는 신축행위를 제한하는 '건축허가 제한', 실소유자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의 조치도 취하기로 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1/05/27/39619530db90a2edc3ab68c64fab708a.jpg)
'빌라 불장' 우려…서민들 어쩌나
하지만 서울시가 내놓은 투기관리대책 만으론 투기심리를 꺾기 힘들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이번 대책으로 재개발 시동을 거는 지역이 증가한다면 사업기대감이 선반영되면서 노후 빌라 등 밀집지의 매매가가 상승하고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갭투자 형태의 거래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빌라(다세대·연립주택) 등 비아파트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서민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아파트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거래 건수는 총 5547건으로 아파트 매매 건수(3582건)보다 54%가량 많았다. 통상 월간 아파트 거래량이 빌라 거래량보다 많은데 올해는 1~4월 모두 빌라 거래량이 더 많았다.
가격도 상승세다.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서울 연립주택 평균매매가는 지난달 3억2648만원으로 전년 동기(2억9602만원) 대비 10.3% 올랐다. 뉴타운 지정이 활발하던 2000년대에도 빌라 투기 광풍이 불면서 매물이 사라지고 가격이 급등한 바 있다.
더 구체적이고 강도 높은 투기 대책 마련이 필요한 이유다.
함 랩장은 "투기 과수요나 잦은 손바뀜을 줄이려면 조합원의 지위양도금지 시점을 조합설립인가 이전으로 앞당기거나 기부채납 및 임대주택 의무비율 상향 등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민간 정비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주택공급의 방향은 긍정적이지만 시장 불안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투기 억제도 지속적인 과제가 될 것"이라며 "투자를 권유하는 여러 채널들을 모니터링해 제재하는 등 구체적인 투기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1/05/27/bc6c04a421fb3e25eb31f2472f11d01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