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누락 등 부실시공이 건설 업계의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다. 정부가 민간 아파트 조사 계획을 밝히면서 건설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로 건설사들이 당분간 주택 공급에 더 소극적일 수밖에 없을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향후 안전관리 비용 증가 등으로 분양가 상승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더욱이 최근 건설사들은 주택 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주택 사업 비중을 줄이는 추세라 이런 흐름이 더욱 심화할 거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그간 잘못돼 온 관행을 바로잡는다는 점에서 당연히 치러야 할 과정이라고 지적한다. 다만 집값 자극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건설업계 긴장감…규제 강화 등 파장 촉각
건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건설사들은 부실시공 이슈가 확대하자 일제히 자사 건설 현장에 대한 자체 조사를 실시했다. 대체로 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정부가 전수 조사를 하겠다고 한 만큼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분위기다.
이번 이슈로 인한 파장이 얼마나 커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와 정치권이 관련 규제를 강화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이미 자체 조사를 마치고 별다른 부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기 때문에 정부의 전수 조사에 큰 부담은 없다"면서도 "다만 정부 조사가 이제 막 시작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문제없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정부의 규제 강화로 안전관리 시스템 등을 재정비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위기를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택 사업 불확실성 커져…비용 증가 불가피"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가 향후 주택 공급 부족과 분양가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건설 업계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사들이 당분간 주택 사업에 소극적이 될 수밖에 없을 거라는 전망이다.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안전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하는 것도 변수가 될 거라는 분석이다.
더욱이 건설사들은 주택 경기 침체로 올해 들어 사업을 눈에 띄게 축소했다는 점에서 이런 흐름이 더욱 심화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관련 기사: [집잇슈]'미분양 쌓였는데'…때 이른 주택 공급부족론 왜?(6월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주택 착공·인허가 규모는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허가의 경우 6월 누적 기준으로 지난해 25만 9759가구에서 올해 18만 9213가구로 27.2% 줄었다.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하면 24.6% 줄어든 규모다. 착공 실적은 지난해 1~6월 18만 8449가구에서 올해 같은 기간 9만 2490가구로 반토막 났다.
인허가와 착공 실적은 주택 공급의 선행지표로 여겨진다. 최근 이 실적이 줄어들면서 향후 2~3년 뒤 주택 공급이 줄어 집값 자극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건설사들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관련 인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는 궁극적으로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건설 업계에서도 그간 잘못된 관행이나 부실시공에 다소 무감했던 것 아니냐는 반성의 목소리가 있다"면서도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새 시스템을 갖추고 인력을 보강하다 보면 비용이 늘 수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건설사들이 올해 들어 수익성이 높은 사업만 골라서 보수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된 만큼 더 소극적인 분위기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도 이번 사태가 향후 주택 공급 축소와 집값 상승의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지금 사태는 비정상을 정상화한다는 점에서 당연히 거쳐야 할 재정비 과정"이라며 "이런 과정에서 건설사들이 불확실성이 걷힐 때까지는 수주 등에 소극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이번 사태로 건설사들은 집을 짓기에 더욱 까다로운 환경에 처하게 된다"며 "안전 관리에 더욱 공을 들이게 되면 결국 시공 기간이 늘어나고 금융 비용 등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 경우 수익을 추구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주택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생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