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새책]"연구만이 살 길"…암과 싸운 과학자들

  • 2019.11.19(화) 17:17

≪암 정복 연대기≫
남궁석 著, 바이오스펙테이터 刊

과거 대표적인 불치병으로 꼽히던 암이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해지기까진 묵묵히 자기 길을 걸어온 과학자들이 있었다. 본인들의 연구가 어떤 결과를 낼지 심지어 연구의 성공과 실패 여부도 모르지만 매일매일 연구를 이어간 과학자들이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과 말기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을 개발해냈다. 암 세포를 완전히 사멸해 '완치'라는 개념을 만들어 낸 면역항암제 여보이, 옵디보, 키트루다 등도 과학자들이 매일 고군분투한 결과다.

연구의 시작은 과학자들의 호기심이었다. 이 책은 암을 고치는 기적의 약을 만들어낸 70여 명의 과학자들과 이름 없는 연구팀에 속한 과학자들의 연구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처음부터 암 치료제라고 예측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과학자들의 모험에 가까운 연구들이 우여곡절을 겪고 나서 생명을 구하는 약으로 탄생했다.

저자는 암과 싸우고 있는 과학자들은 마지막으로 남은 모험가이자 탐험가라고 말한다. 천재 과학자의 위대한 업적을 따라가거나 빈틈없이 꽉 짜인 내러티브로 채워져 있지 않다. 오히려 과학자들이 잘못 예측해 엉뚱한 연구하면서 전혀 의외의 곳에서 성과를 낸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이런 일들이 30~40년 정도 쌓이다 마침내 암을 치료하는 신약이 세상에 나왔다.

이 책에 나오는 과학자들의 고군분투를 따라가다 보면 암과 싸우는 전선의 맨 앞에 서 있는 표적항암제, 항체의약품, 면역항암제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게 된다.

글리벡이 탄생하는 과정을 다룬 1부에서는 초기 과학자들의 암을 어떻게 예측했으며, 예측에 따른 가설을 증명하고 반박하면서 수정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생명과학 태동기부터 과학자들은 암과 싸우기 위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에이즈(AIDS)와 같은 질병의 치료법 등을 찾기도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현대 분자생물학의 기초가 쌓여가는 과정이었다.

허셉틴이 탄생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2부에서는 현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의 바탕을 이루는 주요한 이론과 기술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엿볼 수 있다. 단일클론항체, 재조합 DNA 기술 등은 암과 싸우는 과정에 참여했던 과학자들의 이런저런 도전과 실패 속에서 확립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재조합 DNA 등의 문제 앞에서 생명과학 윤리를 고민하는가 하면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해 대량으로 저렴하게 치료용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의 끝은 암 유전자가 일으키는 문제를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들어낸 항체로 해결하는 허셉틴의 개발이었다.

환자 자신이 가진 면역의 힘으로 암을 고치는 여보이, 옵디보, 키트루다 등 면역항암제의 탄생 이야기는 3부에서 다룬다. 면역은 생명과학 전공자들에게도 까다로운 분야다. 따라서 면역항암제의 탄생 이야기는 면역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담고 있다.

실패와 좌절에도 결국 과학으로 조금씩 암을 정복해가는 연구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암과의 전쟁에 어떻게 임해야 할지 다시금 돌아보게 된다.

저자 남궁석은 과학저술가, Secret Lab of Mad Scientist 대표. 고려대학교 농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예일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13년부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생명과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