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우리은행 매각 운명의 날 다가온다

  • 2016.07.15(금) 17:29

"공적자금 회수보다 조기 민영화" 여론 힘입어
공자위 다음 달 매각 공고 가능성도

"조기 민영화가 공적자금 회수보다 중요하다" (남주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지지부진하던 우리은행 매각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그동안 공적자금 회수 원칙에 발목이 잡혀 있었는데, 최근들어 '조기 민영화'가 더 중요하다는 여론이 비등하면서 정부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금융위는 조만간 우리은행 민영화를 추진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어 매각 방안과 일정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논의가 진전하면 당장 다음 달부터 매각 작업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 "헐값 매각 이유로 민영화 미뤄선 안 돼"

한국경제학회는 1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국내 은행산업 경쟁력 제고와 금융회사 민영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토론자들은 우리은행 매각 조속화를 한목소리로 주장했다. 필요할 경우 매각 대금 할인이나 분할납입까지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왔다.

남주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지나치게 집착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헐값 매각 들을 이유로 우리은행 조기 민영화를 반대하는 것은 금융산업 발전에 죄를 짓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더 나아가 매각 대금 할인이나 분할 납입까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역시 "공적자금 조기 회수가 곧 회수 극대화이며, 조기 매각 원칙에 집중해 매각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도 "경영권 프리미엄에 집착하다가 매각이 지연돼 현재가치로 계산한 회수율이 더 떨어지고, 결국 국민 부담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 공적자금 극대화 부담 덜 수 있을까?

정부도 이런 여론에 따라 '공적자금 극대화' 원칙에 대한 부담이 어느 정도 줄었다고 판단하는 모습이다. 특히 내년 대통령 선거 정국이 본격화하기 전인 올해 안에 매각 공고를 내야 하지 않겠냐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매각 여건도 나쁘지 않게 조성되고 있다. 공적자금 회수를 위한 목표주가(1만 2980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주가는 상승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15일 현재 우리은행 주가는 1만100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5% 가까이 올랐다.

공자위는 이번에 지분 30%를 먼저 매각하고 나머지 21%를 민영화 이후에 파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30%는 시장 가격에 팔고, 이후 주가가 오르면 나머지 지분은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얹어 파는 방안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각에선 정부의 매각 의지가 여전히 없다는 시선이 있지만, 연내 매각을 목표로 준비하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 투자 수요 얼마나?…"아직 정해진 것 없어"

문제는 투자 수요의 양과 질이다. 우리은행 측은 매각 공고가 날 경우 지분 투자 의사가 있는 기관이 최소 20여 곳 정도라고 파악하고 있지만, 정부나 공자위에선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원칙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여론이 있지만, 정부가 이를 어느 정도까지 감당할 수 있느냐도 문제다.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의 회수율은 단순 계산으로 64.9% 정도이고, 남은 자금은 4조 4000억원가량이다.

이날 세미나에 방청객으로 참석한 윤창현 공자위원장은 "매각 방법이나 일정 등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곧 열리는 본위원회에서 보고를 받은 뒤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괜찮은 수요자가 오느냐가 관건"이라며 "그 뒤에 매각 방법이든 일정을 논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자위는 애초 오는 19일 본위원회를 열어 수요 조사 결과 등을 보고받을 계획이었지만, 일정을 잠정 연기했다. 공자위 관계자는 "이달 중 공자위 본회의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다음 달로 미뤄졌다"고 설명했다. 19일엔 우리은행 상반기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