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은 이번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한 관세 폭탄 등을 예고한 바 있다. 그의 취임은 경제·외교 등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전세계 질서를 뒤흔들 '초강력 변수'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현지시간 20일 정오, 우리 시간으로 21일 새벽 2시에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세계 경제는 취임식 당일 트럼프의 정책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제 충격 대비 "안정적 관리에 총력"
트럼프의 주요 경제 정책으로는 '관세 인상'이 꼽힌다. 선거 운동 기간 그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과 멕시코·캐나다에 최대 6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트럼프가 취임과 동시에 보편 관세를 시행할지, 일부 품목에만 단계적으로 적용할지 등을 지켜보고 있다. 해당 공약이 실행되면 수출 의존도가 큰 자동차·반도체 등 국내 산업계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른 국내 경제 충격도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비상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하고 금융시장 충격에 대비하고 있다. 트럼프 취임으로 시장금리와 환율이 요동칠 수 있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면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 유출도 우려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미국 신정부 출범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만큼, 각 기관이 미국 신 정부 정책 및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금융·외환시장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14일 임원회의에서 "트럼프 취임 등 시장에 영향을 줄 중요한 이벤트를 앞둔 만큼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금융 안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전했다.
환율 악재…'기준금리'도 못건드려
당장 원·달러 환율이 문제다. 환율은 트럼프 당선 후 쭉 오름세를 보이다 작년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1400원 후반까지 폭등한 상황이다. 고환율이 이어지면 소비자물가가 동반 상승해 삶이 더욱 팍팍해질 수 있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추이를 지켜보기로 결정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하며 "경기 상황만 보면 금리를 내리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 금통위원 모두의 의견"이라면서도 "두 차례 금리 인하 효과도 지켜볼 겸 숨 고르기를 하면서 정세에 따라 판단하는 게 더 신중하고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환율이 1470원대로 오른 채 유지된다면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저희가 예측했던 1.9%보다 0.15%포인트 올라 2.05%가 될 것"이라며 "환율뿐 아니라 국제 유가가 같이 올라가면 임팩트가 더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은 23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치)'을 발표한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작년 2분기 역성장(-0.2%)한 데 이어 3분기에도 0.1% 성장으로 기대에 못 미쳤다. 4분기에는 미국 대선과 비상계엄 사태 등 정치 이슈가 있었던 만큼 한은의 발표에 관심이 모아진다.
24일에는 '2024년 1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가 발표된다. 작년 10~11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지난 11월 통계에서는 은행권의 예대금리차가 1.41%포인트로 2023년 8월 이후 최대 폭을 기록해 '이자장사'라는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