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오는 날엔 치맥이다.”(천송이, 별에서 온 그대)
중국에 치맥(치킨+맥주)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천송이가 드라마에서 치맥을 언급한 이후 중국에서는 원래 없던 메뉴인 치맥에 꽂힌 젊은이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상하이에서는 한국식 치킨을 사기 위해 줄을 서는 진풍경도 벌어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 |
전국에서 지난달 말 현재 영업중인 음식점은 60만개 수준이고 이 가운데 호프집이 6만개, 치킨집이 3만3000개에 달한다.
호프집에서는 치킨을, 치킨집에서는 호프를 파는 점을 감안하면 치맥을 먹을 수 있는 곳이 9만3000곳에 달하는 셈이다. 중국에 치맥 한류를 불러일으킨 종주국다운 숫자다.
안전행정부는 오는 10일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는 음식점과 관광업소 자료를 한데 모아 공공데이터포털(http://data.go.kr)을 통해 공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를 보면 전국적으로 영업중인 음식점은 총 60만2524개에 달한다. 이 중 한식집이 29만3239개로 절반(48.7%)수준이고 호프집 6만793개(10.1%), 분식점 3만8502개(6.4%), 치킨집 3만3152개(5.5%) 순이다.
2009년부터 5년간 전국 12개 주요 대도시의 음식점별 5년 이상 영업지속률을 보면 중식>한식>일식>호프집 등의 순으로 오래 생존했다.
서울 종로구의 5년 이상 음식점 생존율은 중식당이 77.0%로 가장 높았고 전통찻집(73.9%)>선술집(69.4%)>한식(67.9%)>경양식(65.8%)>일식(65.7%)>분식(62.0%) 등이 뒤를 이었다. 부산시는 중식(78.4%)>생선회(76.9%)>한식(68.1%)>호프집(64.8%) 순이었다.
10일부터 개방되는 자료는 주변에 있는 한식·중식·일식집·치킨·김밥(도시락)·패스트푸드·까페 등 20종의 일반음식점과 관광숙박·식당업, 유원시설업, 전문휴양업, 외국인전용 유흥음식점 등 관광업 관련 데이터다.
이들 정보는 언제든 필요할 때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업종별 밀집도와 영업지속율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영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