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철강업 Up&Down]①나랏철강이 중국에 달려

  • 2016.06.23(목) 09:36

中 세계 철강시장 장악→ 공급과잉 유발→
강력한 구조조정 시행→가격상승 지속 예상

철강업에 오랜만에 훈풍이 불고 있다. 중국의 제품가격 상승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실제로 2분기 국내 철강업체들의 실적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런 훈풍이 언제까지 불 것인가다. 업황 회복의 열쇠(Key)는 중국이 쥐고 있다. 전세계 철강 업황을 좌지우지하는 중국의 움직임에 국내 철강 업황도 연동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내 철강산업은 중대한 국면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철강업을 구조조정 대상에 올려뒀다. 업체들에게는 부담이다.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는 국내 철강업의 현 상황과 업황에 대한 전망, 중국의 움직임 등을 살펴본다.[편집자]


국내 철강 시장은 중국에 후행(後行)한다. 인접국인데다 전세계 철강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중국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 1분기에 있었던 국내 철강 제품 가격 상승도 중국의 영향 덕이었다.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이 효과를 내면서 생산량이 줄었다. 그러자 재고가 감소했고 가격이 올랐다.

중국의 가격 인상은 국내 철강 시장을 움직였다. 오랜기간 엄두도 못냈던 제품 가격 인상이 가능해졌다. 중국산 저가 물량 유입도 줄었다. 국내 철강업체들의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이유다. 하지만 중요한 문제가 남았다. 지금의 호황이 얼마나 갈 것이냐다. 업계에서는 중국에 답이 있다고 보고 있다.

◇ 중국이 쥐고 있는 시장

지난 2004년 글로벌 철강업계는 유례 없는 호황을 누렸다. 글로벌 조강 생산량이 처음으로 10억톤을 넘을 만큼 좋은 시절이었다. 중국의 가파른 경제 성장 덕분이었다. 중국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사회기간사업 확대를 진행했다. 이 때문에 많은 철강제품이 필요했다.

중국은 필요한 철강 제품을 수입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자국의 철강업체 육성에 나섰다. 중국 철강업체들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단기간 내에 큰 폭으로 성장했다. 중국의 호경기로 대형 철강업체는 물론 중소형 철강업체들도 난립하기 시작했다. 그야말로 땅 짚고 헤엄치기였다. 그만큼 수익이 났다.


중국 철강업체들의 성장은 글로벌 철강 시장에서 중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2014년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글로벌 조강 생산량의 50%를 넘어섰다. 이는 중국이 글로벌 철강 시장을 좌우할 힘을 가지게 됐다는 것을 의미했다. 중국 시장의 가격에 따라 세계 철강 시장의 가격이 움직이는 현상이 일어났다.

하지만 곧 재앙이 닥쳤다.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고성장을 기반으로 했던 중국 철강업체들은 급속도로 무너졌다. 그러나 이미 벌여놓은 생산시설을 줄일 수는 없었다. 고용 문제가 걸려있었다. 중국 정부는 구조조정에 나서겠다고 선언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수요는 없는데 생산은 계속해야했다.


중국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은 곧 글로벌 철강업계의 공급과잉으로 이어졌다. 공급과잉은 제품 가격 인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고 결국 글로벌 철강업황은 깊은 수렁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중국은 공급과잉으로 넘쳐나는 물량을 최대 수출국인 한국으로 밀어냈다.

그 결과, 국내 철강 시장에는 저가의 중국 물량이 넘쳐나기 시작했다. 2013년에는 국내 전체 수입 철강 물량 중 중국산 물량의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이후에도 계속 증가해 작년에는 전체 수입 물량의 62.3%가 중국산일 정도로 중국의 영향력은 계속 확대되고 있는 상태다.

◇ 변화가 생겼다

중국은 글로벌 철강업체들에게 있어 공공의 적이 됐다. 전세계 철강 업계를 부진의 늪에 빠트린 주범으로 몰렸다. 중국의 철강업체들이 쏟아내는 물량 탓에 시장이 교란됐다. 결국 중국 정부는 자국의 철강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을 선언했다. 하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 최근 수년간 중국 정부는 수차례에 걸쳐 구조조정을 이야기했지만 효과를 거둔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달랐다. 작년 12월 중국 정부는 경제공작회의를 통해 과잉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침을 밝혔다. 이후 지난 2월에는 리커창 총리가 중국 내 철강 생산능력 감축을 직접 지시했고 3월에 열린 양회에서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공급측의 개혁을 강조했다. 중국의 최고위층이 철강 산업 구조조정에 대해 이처럼 의지를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중국 정부가 자국의 철강 산업에 대해 강력한 구조조정 의지를 보인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양회에서 공식적으로 '신창타이(新常態:중속성장 시대)시대'에 진입했음을 선언했다. 아울러 '바오치(保七:경제성장률 7%)'의 공식 종료와 함께 오는 2021년 공산당 창건 100주년에 맞춰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안정된 생활을 누리는 단계인 전면적 '샤오캉(小康)사회'로의 진입을 선언했다.

▲ 중국 정부는 자국의 철강산업에 대해 유례없는 강력한 구조조정 의지를 밝힌 상태다. 철강산업을 경제발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과잉산업으로 분류하고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과거 고속성장 시기를 이끌었던 철강, 시멘트 등을 산업 전분야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과잉산업으로 분류했다. 과잉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없이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6.5%의 성장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중국 정부의 생각이다. 중국 정부가 철강 산업에 대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서는 까닭이다.

중국 정부의 유례없는 구조조정 의지에 힘입어 올해 초 중국 철강 시장은 호기를 맞았다.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재고도 함께 소진됐다. 그 덕에 제품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올해 초 중국의 열연코일 유통가격은 작년 말 저점 대비 79.2% 상승했다. 중국의 철강 제품 가격이 오르자 국내 철강업체들도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섰다. 시장에서는 국내 철강사들의 2분기 실적에 가격 인상분이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철강업 구조조정과 과잉 설비 해소를 위해 약 18조원 규모의 산업구조조정기금을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구조조정에 따른 대규모 실업사태를 대비한 자금도 포함돼 있다. 지금껏 중국 정부가 철강업 구조조정에 이처럼 강력한 의지와 세부적인 안(案)을 내놓은 적은 없다. 그만큼 중국의 공급과잉 해소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 업황 회복 기미가 보인다

업계와 시장의 관심은 중국에서 시작된 철강 업황 호조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다. 현재 중국 정부가 유례없는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업황 호조세는 상당기간 진행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반면 업황 호조를 틈타 이른바 '좀비기업'들이 다시 가동률을 올릴 경우 또 다시 공급 과잉의 그늘이 드리워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업황 호조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보는 쪽에서는 올해가 중국의 경제개발 5개년 규획의 첫 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는 중국의 13차 5개년 규획의 시작이다. 통상적으로 중국은 경제개발 5개년 규획의 시작해와 이듬해에 목표치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여왔다. 지난 2006년과 2007년, 2011년과 2012년이 대표적인 예다. 
 
통상 첫해에는 정부 차원에서 경제개발을 위한 드라이브를 강하게 건다. 정책이 후반으로 갈수록 잦은 수정과 차기 경제개발로 관심이 분산되면서 후반기에는 목표치보다 못미치는 결과는 내놓고는 했다. 따라서 올해가 13차 규획의 첫 해인만큼 중국 정부가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대해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이렇게 되면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은 가시적인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아진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지방정부도 최근들어 구조조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로 중국 최대 철강 생산지인 허베이성은 올해 성 내에서 제철 1000만톤, 제강 800만톤을 감산키로 했다. 또 향후 5년간 철강 생산을 2억톤으로 제한하고 철강기업의 60%를 폐업하거나 구조조정하기로 했다. 그동안 글로벌 철강 업계에 드리워졌던 공급과잉의 그림자가 걷힐 가능성이 커졌다.

물론 반대의 의견도 있다. 최근 중국의 철강 가격은 정부의 선물시장 규제로 주춤한 상태다. 하지만 중소 철강업체들은 올들어 지속되고 있는 가격 인상에 힘입어 조금씩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 자칫 공급과잉 현상이 재차 반복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업계와 시장에서는 중소 업체들의 가동률 상승은 중국 정부가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제품가격 상승도 한동안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 의지가 강하고 각 지방 정부들이 폐쇄 고로 재가동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어 가동률 추가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며 "한동안 중국 철강가격의 강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