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878017de0c30e40cf5af526933103280.png)
최근 니켈·코발트·리튬 등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 가격이 크게 뛰면서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전기차 폐차 규모가 크지 않아 폐배터리 발생은 적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 5~10년 내 그 규모는 엄청나게 커질 전망이죠.
선제적인 준비가 필요한 대목인데요.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선진기업들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요.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f677c08cc6797001230583a484a2fa38.png)
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즈니스워치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니켈 인스티튜트를 방문했습니다. 니켈 인스티튜트는 글로벌 니켈·니켈화합물 제조업체들이 모인 협회예요. 회원사로는 △세계 1위 코발트 생산회사인 글렌코어와 함께 △이차전지 소재 기업 유미코아 △유럽 최대 구리 생산업체 아우루비스 등이 있어요.
LCA(전과정평가)·지속가능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마크 미스트리 시니어 매니저에게 현재 글로벌 기업들의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현황과 유럽의 상황 등을 들을 수 있었어요.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e9189c8e0bfca3276984496cf66f57a2.png)
니켈 인스티튜트는 배터리 재활용의 이유를 '경제적 가치'로 꼽았습니다. 배터리 1개당 금속 함량의 가치는 수천 달러에 달할 정도로 높아요.
특히 니켈의 경우 재활용 효율이 100% 수준에 달하죠. 배터리에 들어가는 원료 중에서도 효율이 높은 편인데요. 수천 달러의 가치가 있는 배터리를 재활용하지 않고 땅에 매립해 버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겠죠.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e45a748ec8e38c48a02c1cbe5044d9c6.png)
다만 아직 배터리 시장은 초기 단계에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10년 정도로 보기 때문에 재활용 시장이 활성화되기까지 꽤 시간이 남아있는 거죠.
니켈 인스티튜트 회원사들은 재활용 시장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있어요. 니켈 등 배터리의 핵심 원료가 함유된 '블랙매스(배터리 재활용 과정에서 생산되는 중간가공품)'를 톤 단위로 공급받게 될 미래를 대비하고 있는 건데요.
이를 위해 자동차 제조사, 배터리 제조사, 금속업체 등이 합작투자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해요.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997cd61c513fd27f85665eb8f27b40b5.png)
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대한 유럽 시민들의 인식도 변하고 있어요. 정부, 기업의 노력을 통해 한정 자원인 배터리 원료를 재활용으로 일부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점차 알게 되는 거죠.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10/13/6b5946c2c8795b9756320c793ee71979.png)
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대한 중요도와 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만큼, 꾸준히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한다는 게 니켈 인스티튜트의 입장이에요.
금속 산업의 투자주기가 15년 이상이라 그사이 정책이 바뀌면 제대로 된 사업 운용이 어렵기 때문이죠.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