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영풍이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추천한 김광일 MBK 부회장이 인수 기업 18곳에서 등기임원 등 주요 보직을 맡으면서 과다 겸직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롯데카드와 오스템임플란트 등 MBK 인수기업 공시 등에 따르면 김 부회장이 맡고 있는 보직은 대표이사 1곳, 공동대표이사 2곳, 사내이사 1곳, 기타비상무이사 13곳, 기타비상무이사 겸 감사위원 1곳이다.
특수목적법인(SPC) 등을 제외해도 겸직 수는 총 9개에 달한다. △홈플러스 대표이사 △딜라이브 기타비상무이사 △딜라이브 강남케이블TV 기타비상무이사 △네파 기타비상무이사 △엠에이치앤코 기타비상무이사 △롯데카드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임플란트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파마 기타비상무이사 △메디트 기타비상무이사 등이다.
고려아연 이사회까지 합류할 경우, 김 부회장이 겸직하는 등기임원직은 19개로 늘어나고 중국 등 해외인수 업체까지 더할 경우 20곳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여러 기업에서 수십여개 보직을 겸직할 경우 선관주의 의무 등 충실한 이사회 운영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타비상무이사는 겸직 제한 요건이 없는 점을 노려 그 수를 무한정 늘리면서 이를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내 3대 의결권자문사인 서스틴베스트는 "과다한 겸임으로 기타비상무이사로서 충실의무를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김 부회장의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안에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 한국ESG연구소, 한국ESG평가원 등도 김 부회장의 이사회 합류에 부정적 의견을 냈다.
김 부회장이 등기임원직을 수행 중인 몇몇 기업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하면서 경영 능력과 관련해서도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서스틴베스트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SSM사업부문(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은 2017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약정 없이 가격 할인 행사를 실시하면서 납품단가를 인하하는 방식을 통해 납품업자에 약 17억원의 판촉비용을 전가했다.
납품업자와 체결한 86건의 계약에 대해서도 계약 서면을 지연 교부하는 등 대규모유통업법을 위반, 공정위로부터 과징금 24억1600만원을 부과받았다. 김 부회장은 2009년 3월부터 2010년 1월, 2015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 홈플러스의 기타비상무이사로, 2024년 1월부터 홈플러스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2019년 10월부터 기타비상무이사를 맡고 있는 롯데카드에서는 배임사고가 발생했다. 서스틴베스트는 "롯데카드 직원 2명은 2020년 10월부터 2023년 5월까지 부실 협력업체와 제휴 계약을 체결해 롯데카드 자금 105억원을 지급하고,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66억원을 돌려받아 배임 혐의로 고발당했다"고 밝혔다. 다만 과징금과 처분 규모 등을 고려해 두 사례를 참고 사항으로만 기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