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면서 대주주인 MBK 김병주 회장의 책임론이 부각하고 있다. 김 회장은 오는 18일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출석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정무위원회는 12일 전체회의를 열고 김병주 회장을 포함해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 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 5명을 오는 18일 긴급 현안 질의에 부르기로 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기습적으로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바 있다. 하지만 MBK가 회생 절차 신청 직전까지 개인과 기업 등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어음(CP) 등을 발행하면서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알면서도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무위는 특히 김 회장을 대상으로 홈플러스 사태 관련 배임 행위 여부를 집중적으로 질의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김 회장의 출석 여부는 불투명하다. 정무위 관계자가 MBK 측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김병주 회장은 미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전에도 여러 차례 국회 상임위원회와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실제 출석한 적은 없다. 그러면서 김 회장이 이번 정무위의 증인 채택에도 응하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회장은 지난해 10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증인으로 채택했으나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필요할 때는 토종 사모펀드라는 점을 강조하고 국회 국정감사 등에 출석을 요구할 때는 외국인이라는 점을 악용하는 거 같다"고 꼬집었다.
한편,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지난 11일 MBK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이를 두고 조사4국이 비정기(특별) 세무조사를 담당하는 부서라는 점에서 지난해 국정감사 당시 논란이 됐던 김병주 회장의 역외 탈세 의혹 등을 비롯, MBK의 각종 자금 집행과 세금포탈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