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동양 트라우마`..증권가, 동부리스크에 바짝 긴장

  • 2014.06.27(금) 11:30

우량 보험사 중심 금융계열 `리스크 제한적`
동부증권 창구통한 회사채 판매 규모도 적어
자율협약시 투자자 피해 없어..`채권단 협의` 주목

동부그룹 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결국 강등됐다. 동부그룹 계열사들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은 아니지만 투기등급 강등으로 계열사를 통한 회사채 판매부터 당장 힘들어지면서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 여기에 동부증권이 동부그룹 계열사 회사채를 상당수 판매한 점이 `동양 사태`를 상기시키고 있다.

 

지난해 동양 사태가 터진 후 시장의 관심은 제2의 동양이 누가될 것인지 관심이 쏠렸고 동부그룹이 유력 후보로 꼽혀왔다. 당시 과감한 자구책으로 승부수를 던지면서 우려를 불식시키는 듯 했지만 결국 일이 틀어지고 말았다.  

 

하지만 금융계열사 상황을 놓고보면 제2의 동양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판단이다. 계열사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동부의 경우 동양과 달리 채권단 자율협약을 추진하면서 투자자 손실 여부도 희비가 갈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동부화재·생명등 보험중심.."동양과 달라"

 

동양그룹 사태와 달리 동부그룹 리스크가 불거지자 시장의 시선은 동부의 증권계열사가 아닌 보험으로 쏠리고 있다. 동부그룹은 철강과 건설 등 위험업종 중심의 비금융계열과 동부화재를 중심으로 한 금융계열로 나뉘고 동부화재 밑에 증권이 있다.

 

특히 동부 금융계열사는 보험 쪽의 안정적인 이익창출력을 바탕으로 전반적으로 공고한 펀더멘털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동부화재는 동부생명 지분 92.72%, 동부증권 지분 19.92%를 갖고 있고 동부증권은 동부저축은행과 동부자산운용을 보유 중이다.

 

최근 신용평가사들은 동부캐피탈의 단기신용등급을 하향하면서 이를 제외하고는 비금융계열사로부터 발생한 리스크 전이 가능성은 낮으며 다른 금융계열사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증권사 전문가들 역시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윤제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동부화재는 보험업 본연의 펀더멘털과 이익체력이 돋보인다며 최근 주가하락을 저가매수로 삼길 권했다. 

 

◇ 계열사 리스크 `동양 때보다는 낮다`에 무게

 

동부화재의 동부제철 지분(4.99%)를 제외하면 금융과 비금융 계열사 간 출자관계는 대부분 해소된 상태며 신규 출자나 신용공여 등 비금융계열사에 대한 지원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룹 리스크가 동부화재로 전이될 가능성이 적다는 얘기다.

 

다만 동부화재가 과거 비금융계열사가 보유한 부동산 등 유형자산을 매입한 경우는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험사 가운데 계열사 증권 보유나 신용공여가 자기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동부화재가 15%선으로 동양생명보다 높았다.

 

동부증권 역시 계열 회사채를 보유하고 있지만 동양만큼 대규모는 아닌 것으로 분석돼 왔다. 동양그룹의 경우만 동양증권에 대한 직접 조달 의존도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했다는 판단이다.

 

한국기업평가의 지난해 분석에 따르면 금융자회사 외 계열자산 익스포저의 자기자본 대비 비중은 0~5%중반대 수준에 그쳤다. 동양증권은 16%선에 달했지만 동부증권은 2.8%로 낮았다. 현재 동부증권은 A+의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으며 자본적정성 비율도 350% 수준으로 동부그룹 주요 금융계열사 가운데 가장 높다.

 

증권업계 전체적으로도 고객자금이 대규모로 인출되더라도 유동성 대응력에서도 문제는 없다는 판단이다. 문제는 계열 리스크에 따른 평판 위험이다. 동양증권 역시 고객자금 이탈로 상당한 타격을 입어야 했던 만큼 동부증권도 평판위험 확대에 따른 수익기반 훼손여부를 주시해야 할 전망이다.

 

▲ 출처:한기평
 

 

◇ 회사채 판매 규모 크지 않아.."확대해석 경계"

 

동부그룹 역시 그룹 계열사인 동부증권을 통해 회사채를 팔았다. 이렇다보니 동양상태와 유사한 것으로 비친다. 동부증권에는 회사채나 기업어음(CP)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문의도 많아졌다.

 

최근 동부증권은 계열사간 회사채 거래 규정을 위반하면서 감동당국이 회사 및 임직원에 대해 징계 조치를 내린 바 있다. 동부증권은 지난해 10월 동부그룹 핵심 계열사인 동부CNI가 발행한 회사채 300억원을 각각 150억원씩 인수했고 동부증권이 유진투자증권의 회사채를 모두 사들이며 계열사 발행 회사채 50% 이상 인수금지 규정을 어겼다.

 

동부그룹이 만에 하나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회사채 등을 산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은 불가피하다. 동부증권으로서도 타격이 없을 순 없다. 동부증권은 지난 25일 기준으로 동부증권을 통해 동부제철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는 1755명, 763억원에 불과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CP 투자자는 없는 상태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지난 3월말 기준으로 발표한 수치(6551명, 1957억원)보다 낮다. 동양증권 관련 집단소송에서 청구된 금액은 1조7천억원, 피해자 규모만 4만여명에 달한다. 동부제철 회사채에 투자한 투자자는 지난 3월말 현재 1만1724명, 3205억원이다.

 

◇ 투자자 피해 구제 놓고 `형평성 논란` 가열

 

또 법정관리가 아닌 자율협약 시에는 회사채 투자자들에 대한 피해가 없기 때문에 평판리스크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율협약은 법정관리와 달리 채권단과 기업이 협의를 통해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구조다. 채권단 자금으로 개인이 보유한 회사채를 매입해주기 때문에 투자자에 대한 피해가 없다.

 

자율협약이 채권단 위주로 진행될 경우 채권단 이해 관계가 우선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채권단 협의를 예의주시해야 하는 불확실성 정도는 남게 된다.

 

앞선 동양이나 STX 등과의 형평성 논란 또한 계속 제기될 전망이다. 실제로 동양 피해자들은 `동부는 구제해주는데 동양은 외면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 투자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오히려 동양 피해자들은 주부나 노인 등이 많았고,  동부그룹은 고수익 고위험을 노린 전업 투자자들이 대부분이었다"며 "동부제철 투자자를 보호해주면 앞으로 모든 회사채는 정부원금보장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동양 사태 당시에는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 등 채권단 공동관리가 아닌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회사채 투자자들이 손실을 봤다. 다만 동양그룹은 부채에서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이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았기 때문에 채권단의 공동관리가 적용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