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빅데이터 金맥]⑦대통령도 만들어낸다?

  • 2014.07.10(목) 14:54

오바마 美대통령 재선 공신으로 부각
정치권, 표심 살피는 수단으로 활용

버락 오바바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2년 재선에 성공할 당시 숨은 주역은 빅데이터 였다.

 

오바마는 대선 2년전부터 빅데이터 분석팀을 설치하고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빅데이터 분석팀은 구매 가능한 모든 상업용 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비롯해 실무팀이 직접 수집한 정보까지 취합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여론조사기관, 모금단체, 광고회사, 소셜미디어 등 각종 자료와 2008년 대선 때 확보한 선거운동원, 모바일 기부자 명단 등 다양했다.

 

또 유권자 명부를 성별, 나이, 인종, 지역, 투표성향에 따라 재편성했다. 세대별, 지역별, 가족상황에 따라 분석한 소비성향 자료를 덧붙였고 선거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히스패닉계와 여성 유권자를 대상으로 입체적 분석에 들어갔다. 이를 토대로 정치자금을 낼 가능성이 있는 사람,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사람, 표심을 바꿀 가능성이 높은 유권자층을 분류했다.

 

실제로 빅데이터 분석팀은 할리우드 정치헌금 디너파티에 참가해 기부금을 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그룹으로 40대 여성층을 꼽았고, 이들에게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인물로 배우 조지클루니를 초대해 성공적으로 정치헌금을 모았다.

 

또 최대 경합지역인 오하이오주 유권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일 밤 6만6000회에 걸쳐 각종 시나리오를 적용한 모의 선거도 실시했다. 페이스북에서 오바마에 '좋아요'를 누른 지지자들을 분석, 경합주에 친구를 둔 지지자를 찾아내 오바마 지지를 설득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그 결과 경합주 승리를 이끌었다.

 

 

◇韓 정치권도 주목 시작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사례가 전해지면서 국내 정치권에서도 빅데이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지난 6·4 지방선거 땐 초기단계 수준이지만 정당별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분석기술을 활용, 선거 공약에 반영시켰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후보자별 관련 글을 수집해 긍정·부정적 메시지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유권자 표심을 분석하기도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외부용역을 통해 '지방선거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형 선거빅데이터 구축방안'을 연구중이다. 미국 대선 때 유권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선거 전략을 구사한 선거 기법을 보고 우리나라도 빅데이터를 선거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보자는 의미에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측은 "과거 선거는 신문, 방송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지만 최근에는 SNS, 빅데이터가 중요 요소로 떠올랐다"면서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정교하게 분석하느냐가 미래 선거의 승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빅데이터는 유권자의 성향을 입체적으로 분석, 그에 맞춘 선거공약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도구로 쓰이고 있다"면서 "유권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고 급격하게 변하는 선거판에서의 전략을 실시간 변경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덧붙였다. 

 

물론 일각에선 소셜 분석서비스의 오차율을 들어 선거와 빅데이터 접목이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미국과 달리 국내에선 법·제도 환경이 다른 만큼 한국형 빅데이터 선거전략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 [자료=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수립前 민심을 살펴라

 

정부가 정책수립 시 국민들이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느냐는 중요한 변수다. 이때에도 빅데이터는 정량적이고 계량적인 분석을 통해 효율적 정책수립을 지원해준다.

 

우선 빅데이터는 가시적이지 않은 사회적 요구를 파악해 구체화할 수 있다. 방대하고 다양한 전문지식이나 보고서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핵심 트렌드를 도출하고, 토의·논쟁 등 정치적 활동을 보완하는 또다른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 감정추출 및 분석기술은 정책에 대한 긍정·부정 여론을 파악해 국민정서를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 과학적 예측기번은 변화요인을 사전에 분석하고 시뮬레이션해 상황변화에서도 손쉽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준다.

 

실제로 홍콩 능률국(efficiency unit)은 여러 정부부처를 대신해 시민의 문의와 불만을 처리하는 단일 플랫폼 '1823 콜센터'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1년동안 정부에게 제기된 문의, 제안, 불만 등 265만건의 전화통화내용과 9만8000건의 온라인 게시글을 분석해 효율적인 정책자료를 만든다.

 

국내에서도 영유아 보육정책을 수립하기 전 빅데이터가 활용됐다. 지난 2012년 5∼9월중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등에서 각정 자료를 수집해 영유아 보육정책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정책 일관성에 불만이 많다는 점을 파악했다. 정부를 이를 통해 보완 아이디어를 수립해 최종결정에 반영시켰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