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120억원 규모 펀딩을 받아 2020년 5월부터 3년간 진행한 '감염병 대비를 위한 차세대 방역 연구'를 마치고 수집된 일부 데이터를 익명화해 일반에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KT는 이번 연구 목표였던 '인공지능(AI) 기반 감염병 자가진단 알고리즘'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경로 예측 모델' 개발을 완료했다.
아울러 컨소시엄사인 고려대 구로병원, 모바일 닥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메디블록 4개 기관과 함께 성과 공유회를 열고 연구 결과도 공유했다.
KT는 이번 연구를 통해 통신사 기지국 위치를 활용했던 코로나19 초기 역학조사 방식의 효과성을 확인했다.
지난해 상반기 연구용 앱인 '샤인'에 코로나19 PCR 검사결과를 등록한 이용자 중 서로 기지국 커버리지가 겹쳤던 이용자 간 코로나19 감염률(87.8%)은 그렇지 않은 그룹의 감염률(60.3%)보다 27.5%포인트 높았다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사용자 간 기지국 위치는 확진자와의 접촉 가능성을 나타내는 유의미한 정보"라며 "이는 앞으로도 감염 위험 예측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KT를 비롯한 연구단은 모바일 앱을 통한 감염병 감시체제도 긍정 평가했다.
연구단은 앱을 활용한 감염병 모니터링 방식이 향후 새롭게 발병하는 팬데믹을 선제적으로 감지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 전망했다. 감염병 출현할 때 개인이 입력하는 건강 상태, 증상 데이터를 보고 팬데믹 가능성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KT와 고려대 구로병원은 모바일 감시와 통신 데이터 활용 코로나19 확산 예측 분석 주제의 상세 연구 결과를 전문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향후 닥칠 미지의 신종 감염병 유행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KT와 함께 유용성을 입증한 모바일 감시체계와 같이 통신, 의료, 빅데이터, AI 등을 융합한 디지털 방역 체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부사장)은 "게이츠재단과 함께한 이번 연구는 모바일 앱을 활용한 선제적 감염병 대응 가능성을 확인한 계기였다"며 "샤인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데이터들이 적극 활용돼 향후 국내외 감염병 대응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