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경력단절 女 ‘198만명’... 결혼>육아>임신

  • 2013.06.27(목) 14:41

결혼한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박근혜정부의 고용정책 목표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는 경력단절을 해소할 수 있는 획기적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15~54세 기혼여성 974만7000명 중에 경력단절 여성은 197만8000명으로 20.3%에 달한다.

이는 전년보다 7만8000명(1.0%) 늘어난 것이다. 기혼여성 가운데 비취업여성은 404만9000명으로 전체의 41.5%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결혼이 46.9%로 가장 많고 이어 육아 24.9%, 임신ㆍ출산 24.2%, 자녀교육 4.0% 순이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을 봐도 경력단절 현상을 알 수 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은 때는 25~29세로 71.6%에 달하지만 결혼과 육아문제에 직면하는 35~39세는 55.5%로 뚝 떨어진다. 이 비율은 45~49세 때 다시 67.7%로 높아진다. 전형적인 M자 패턴을 보이는 것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9.9%로 절반에 못 미쳤고 남성(73.3%)보다 20%포인트 이상 낮았다. 최근 10년간 가장 높았던 2006년(50.3%)과 비교하면 0.4% 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대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63.9%로 남성(89.5%)보다 25.6% 낮았다.

5인 이상 사업체의 여성 월평균 임금은 195만8000원으로 남성(287만8000원)의 68.0%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0년 64.7%보다 3.3%포인트 개선된 것이지만 여전히 남녀간의 임금 격차가 큰 상황이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

 

                                               [여성의 직업 분포]

 

  
                                                [남녀간 임금격차]

 

 

 

■ 여성의 사회진출은


여성 취업자들의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1.1%)가 가장 많았다. 이어 사무 종사자(18.8%), 서비스 종사자(16.3), 단순 노무종사자(16.3%), 판매 종사자(14.6%) 등의 순이었다.


국회의원 당선자 중 여성 비율은 2000년 5.9%에서 지난해 15.7%로 높아졌다. 지방의회의원의 여성 비율은 20.3%로 1995년 2.3%에 비해 대폭 늘었다.

 

2011년 기준 전체 판사 중 여성 비율은 25.5%로 2000년 6.8%에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검사는 22.7%, 변호사는 13.6%다. 전체 법조인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16.7%로 2000년에 비해 13.6%포인트 높아졌다.

 

의사 중 여성 비율은 23%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1980년 13.6%에서 꾸준히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여성 한의사도 2.4%에서 17.4%로 높아졌다. 약사는 64%가 여성이다. 여성 교원의 비율은 지난해 76.2%로 2000년에 비해 약 10%포인트 늘었다.


공무원 합격자의 여성 비율은 지난해 행정고시 43.8%, 사법시험 41.7%로 2000년의 각각 25.1%, 18.9%에서 크게 증가했다. 다만, 외무고시는 53.1%로 2010년(60%)보다 줄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