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격 대비 낙찰가격 비율)이 치솟고 있다.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 금융규제 완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등의 효과로 집값 상승 기대감이 커지면서 경매시장을 찾는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8월(26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감정가 6억원 이하 87.5%, 6억원 초과 85.1%로 지난달보다 각각 0.7%포인트, 3.5%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2009년 9월 이후 5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다.
낙찰가율 상승세는 지난 7월부터 시작됐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6억원 86.8%, 6억원 초과 81.6%로 전월에 비해 각각 0.8%포인트, 1.4%포인트 상승했다.

▲ 자료: 지지옥션 |
특히 서초·강남권의 낙찰가율이 고공행진이다. 이달 서초구 낙찰가율은 101.9%를 기록, 낙찰가격이 감정가를 뛰어 넘었다.
전날 입찰에 오른 서울 서초구 무지개아파트 전용 77.7㎡는 감정가 6억원의 104.2%인 6억2505만원에 낙찰됐다. 지난 14일에는 감정가 7억1000만원인 서초구 방배동 경남아파트 105.5㎡가 7억2800만원(낙찰가율 102.5%)에 주인을 찾았다.
강남구 역시 낙찰가율이 91.6%로 전달보다 2.6%포인트 높아졌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160.3㎡는 감정가 19억7000만원의 103%인 20억3001만원에 주인이 결정됐다.
반면 송파구의 경우 낙찰가율이 전달보다 2.2%포인트 하락, 81.1%를 기록했다. 석촌호수 인근 싱크홀 논란 여파로 강남3구 중 유일하게 낙찰가율이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이달 서울 전체 낙찰가율은 87.1%, 경기는 86.6%를 기록했다. 인천은 87.5%로 집계됐다.
하유정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8월은 휴가철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규제완화로 주택거래가 살아나 경매시장에도 응찰자가 몰리고 있다”며 "특히 LTV 완화에 따른 대출여력 확대로 6억원 초과 고가주택의 낙찰가율 상승이 가파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