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해 청와대 비서실의 기능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기로 하면서 청와대 주변 지역과 용산일대 개발사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청와대 인근 종로구 효자동, 청운동, 통의동 등은 향후 고도 제한이 풀리면서 재개발·재건축 사업 활성화로 부동산 가격이 들썩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 경복궁 서촌 일대는 고도 제한 지역으로 묶여 개발이 제한되고 있다. 다만, 이는 청와대 때문이 아니라 전통(궁) 보존과 자연경관(산) 보호 목적에 따른 것이다.
윤 당선인은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돼 왔으며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초고층 건물 건립을 추진 중인 인근 한강변 재개발·재건축이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무산·변경 가능성은 낮아졌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대통령실 이전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된 지난 15일 대비 이날 용산구와 종로구의 아파트 매물은 각각 1.0%, 1.1% 늘었다. 부동산 시장은 일단 관망 분위기다.
상권 역시 들썩이고 있다.
삼청동 상인들은 청와대 공원화로 막혀있는 차로가 열려 관광객 접근성과 방문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인들은 "청와대 공원화가 이뤄지면 막혀있던 길이 열리기 때문에 삼청동이 원형으로 연결된다"며 "인근에서 시위가 없어지는 것도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 효자동 인근 상인들은 "삼청동은 인근 회사 근무자들과 관광객들이 많이 오지만 청와대를 둘러싼 효자동과 같은 상권은 청와대 근무자나 거주자가 없어지면 회복하기 어려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푸른 기와 지붕'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청와대는 조선 태조가 지금의 청와대 자리를 경복궁의 후원으로 사용하던 것에서 그 뿌리가 있다.
이후 연무장, 과거시험장 등이 들어서며 '경무대'라는 별칭이 붙었지만 1592년 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함께 폐허가 됐고, 고종 때 상당수 복원됐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주한미군사령관 하지(John R. Hodge) 중장이 총독 관저를 사용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이승만 전 대통령이 기존 이화장에서 대통령 관저를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경무대'라는 이름을 붙였다.
4·19 혁명으로 정권을 물려받은 윤보선 2대 대통령은 전임자의 독재 이미지를 지우는 일환으로 개명을 추진하면서 1961년 1월1일부로 현재 '청와대'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