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1년2개월째 하향 곡선을 그리는 세종시가 새 아파트 분양 때는 수백~수천 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청약 때 지역 제한이 없는 가운데 시세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저렴한 물량이 극소량 풀렸는데 전국에서 수요자가 몰렸기 때문이다.
이 영향으로 세종은 지방 중 유일하게 '투기과열지구'로 남게 됐다. 대출·청약·세금 등의 규제가 계속해서 적용되지만 높은 경쟁률 탓에 정작 새 아파트에 당첨되기는 어려운 구조다. 주민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올해 평균 청약경쟁률 '1034대 1'
7일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세종시에서는 총 4개 단지에서 176가구를 모집했다. 여기에 전국에서 18만2080명이 청약을 신청하며 평균 경쟁률이 1034대 1에 달했다.
올해 가장 경쟁률이 높았던 단지는 2월에 분양한 '도램마을 13단지 중흥 S클래스 그린카운티'였다. 20가구를 모집하는데 7만228명이 몰렸다. 세종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한 당해지역 신청자가 1만547명, 기타지역 신청자는 5만9681명이었다.
높은 경쟁률 탓에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자 세종시는 기타지역 1순위 청약을 폐지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국토교통부는 신규 인구유입이 필요하다며 당해지역 비중을 기존 50%에서 60%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3월21일 이같은 조치가 시행된 뒤 경쟁률이 소폭 감소하긴 했다. 3월22일 모집공고한 '엘리프 세종6-3'은 84가구를 모집하는데 1만3779명이 청약해 경쟁률이 164대 1을 기록했다.
다만 이후 분양가가 시세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단지들이 공급되면서 경쟁률이 다시 수천 대 1로 올랐다. 임대 의무기간이 끝나고 분양 전환에 나선 공공건설임대주택 중 잔여 가구에 대한 추가 모집을 진행한 아파트들이었다.
지난 3월 분양한 '가락마을 7단지 중흥 S클래스 프라디움'은 평균 청약경쟁률이 2821대 1이었다. 20가구를 모집하는데 5만6426명이 몰리면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락마을 6단지 중흥 S클래스 프라디움'의 경우 52가구를 모집하는데 4만1647가구가 청약 통장을 던져 경쟁률이 800대 1에 육박했다.
가락7단지 프라디움은 전용면적 84㎡가 최고 2억2429만원, 가락6단지 프라디움은 전용면적 59㎡가 최고 1억7139만원이었다. 분양 당시 이들 단지의 시세는 4억~6억원대에 형성돼 큰 시세차익이 예상됐다.
"실익 없는데"…"규제지역 기준 재정립 필요"
문제는 '로또'에 가까운 신규 분양을 제외하면 세종시의 집값이 1년 이상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 상반기까지 집값 상승 피로감이 누적된 가운데 대출 규제 강화,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하방 압력을 받으면서 빠른 속도로 집값이 내려갔다. ▷관련 기사: [팔도 부동산]세종시, 집값 롤러코스터 운행합니다(6월13일)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작년 7월 넷째주(7월26일) 이후 49주 연속 하락했다. 5월 셋째주(5월17일)에 처음으로 하락 전환한 점을 고려하면 1년 2년째 하향 곡선을 그리는 셈이다.
실거래가는 억 단위로 떨어지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가락마을20단지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11일 3억8500만원(8층)에 팔리며 이전 가격보다 1억3500만원 떨어졌다. 새뜸마을10단지 전용 59㎡도 직전 거래(8억원·16층)보다 3억원 낮아진 5억원(2층)에 손바뀜했다.
이같은 상황에도 정부는 청약경쟁률이 높은 점을 들어 세종시의 규제를 유지키로 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30일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를 열고 "세종시는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 잠재적인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세종 지역 커뮤니티에는 "지역 주민에는 실익도 없는 기타지역 청약 때문에 거래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등 규제가 과도하다"며 "앞으로 분양 예정인 단지도 많지 않으니 계속 청약경쟁률이 높을 텐데 규제지역 해제에서 지속적으로 제외될까 우려된다"는 글이 속속 올라왔다.
현재의 규제지역 지정 방식을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세종을 비롯한 지방에서는 규제지역 해제로 인한 매입 의지가 크지 않고 현재 규제지역 종류가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고분양가관리지역 등으로 복잡한 탓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투자자 입장에선 규제지역 해제가 지방에 집중돼 매입 의지가 높지 않고 무주택 실수요자들은 매매가 상승이 정체된 상황에서 높은 대출 이자 부담을 고려하지 않고 주택을 구입하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복잡한 규제지역 기준을 병합하고, 규제 강도도 명확하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