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그룹은 전라남도 등과 함께 전남 해남군에 개발 중인 솔라시도 기업도시(이하 솔라시도)가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과 넓은 부지 등 첨단산업에 알맞은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BS그룹에 따르면 솔라시도는 국내 최대 수준의 일사량과 풍속 등 기후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재생에너지를 갖추고 있다. 약 2090만㎡ 규모의 부지와 산업용수 등의 여건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같은 첨단산업 유치에 필요한 핵심 요건을 충족한다는 설명이다.

BS그룹은 TGK, 삼성물산, LG CNS 등 국내외 주요 데이터센터 전문 기업들과 함께 솔라시도 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했다. 전라남도는 'AI슈퍼클러스터 허브'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RCS(Redlands Christian School) 국제학교, 호텔신라와 특급호텔 구축을 위한 투자유치를 진행했다. 솔라시도를 첨단 산업과 레저, 교육 등 도시 인프라가 균형을 이룬 미래도시로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내는 것이다.
민관 협력 도시개발사업인 솔라시도는 반경 15km 이내 다양한 기업이 총 4GW의 육상태양광 및 수상태양광 개발 계획 중이 있다. 인근 영산강 간척지에는 태양광 집적화단지(3GW) 건립이 추진 중이다. 서남해안권 해상풍력(7GW) 자원을 활용한 총 10GW 규모의 발전단지 조성도 목표다.
솔라시도의 토지는 기업도시특별법에 맞춘 개발계획이 수립돼 있다. 조성 공사가 상당 수준 진행돼 있어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지난해 6월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조성 부지가 정부의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돼 다양한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이뿐 아니라 기업도시 특례 및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따른 소득 및 법인세, 취득 및 재산세 감면 혜택이 있다. RE100, CBAM(탄소배출에 대한 국제 무역 규제 정책) 등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국내에서 가장 저렴한 수준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전남도, 한국전력과 154kV급 변전소 등 전력인프라 조기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상반기 중으로 예정되어 있는 전라남도의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유치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지역 분산형 전력망의 효율적 활용과 신재생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특구 지정으로 국내 최초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에너지 자립형 도시 모델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BS그룹은 솔라시도 내 미래산업 유치에 따른 인구 유입이 예상됨에 따라, 병원과 국제학교 유치도 구체화하는 등 도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규모 토지 및 주거단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종합병원 유치와 체류형 헬스케어 단지 개발도 추진 중이다.
BS그룹 관계자는 "솔라시도가 대규모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넘어서 매력적인 정주 인프라를 갖춘 도시로 성장하려면 더욱 많은 투자유치가 필요하다"며 "투자 및 입주 기업, 기관에 대한 규제 샌드박스 확대 적용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