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2파전…민·관 경쟁 승자는?

  • 2022.01.21(금) 09:50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 vs 이해선 전 거래소 위원
민간·관 출신 강점 명확히 나뉘어…업계 의견 '반반'

앞으로 3년간 저축은행중앙회를 이끌 차기 회장 선출위한 절차가 21일부터 시작된다.

업계에서는 민간출신인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와 금융당국 출신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간 2파전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업계에서는 후보 모두 장점이 있는 만큼 차기 회장에 대해 의견이 확연히 나뉘는 분위기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이날 차기회장 선출을 위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후보 모집 공고를 낼 예정이다.

후보 모집이 완료되면 중앙회는 내달 17일 임시총회를 열어 차기 회장을 뽑는다. 방식은 저축은행중앙회 회원사 79개 저축은행의 투표로 진행된다. 규모에 상관없이 1사당 1표 방식이다.

현재 출사표를 던진 후보는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와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이다. 이외 하마평이 도는 후보들도 많았으나 대부분 고사하고 회장직 도전 의사를 밝힌 인물은 두 후보로 압축된다.

관 출신 중용…왜? 

저축은행중앙회는 전신 상호신용금고연합회 시절부터 꾸준히 수장을 관 출신 인사에게 맡겨왔다. 10대 회장인 곽후섭 전 회장 취임 전까지만 해도 재무부 출신의 인사들이 모두 회장직을 맡아왔다. 

10대 회장 곽후섭 전 회장 역시 대통령 비서관을 지낸 이력이 있기 때문에 온전한 민간 출신 인사라고는 보기 힘들다는 분석도 있다. 11대 회장을 지낸 이상근 전 회장도 한미은행장을 맡긴 했지만 이전에 은행감독원 부원장보를 지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관 출신 인사로 봐야한다는 분석이다.

이는 과거 재무부가 상호신용금고연합회에 대한 지배력이 높았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퇴직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를 돌아보면 상호신용금고연합회장은 재무부 장관이 최종 승인을 내려야 회장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며 "그만큼 재무부 입김이 쌨고 당시 재무부 출신 인물들이 중용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상호신용금고의 명칭이 상호저축은행으로 바뀌면서 협회의 명칭도 저축은행중앙회로 바뀌었다. 회장 선출 과정도 재무부 장관의 승인없이 회원사의 투표로 결정되지만 이러한 추세는 이어졌다.

17대 이순우 전 회장 취임 이전까지 모두 재무부를 전신으로 하는 기획재정부 등의 인사들이 회장을 맡아왔다. 17대 이순우 회장만은 관에 있었던 이력이 없고 경력을 온전히 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 우리카드 등에서만 쌓아온 순수 민간 출신 인사였다.

이 관계자는 "이는 업계 출신일 경우 회장 당선 이후 현재의 직을 내려놔야 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저축은행의 경우 오너체제가 대부분인데 회장에 도전하게 되면 회사를 다른 사람에게 맡겨야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실제 과거 민간 출신으로 저축은행중앙회장에 도전했던 이들은 대부분 '전' 저축은행 대표 등이 대부분이었다. 모두 퇴직 이후 저축은행중앙회장에 도전했다는 얘기다.

민간 vs 관 출신 재격돌…업계 의견도 반반

이번에는 현직 저축은행 대표이사인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가 출사표를 던지면서 예전 중앙회장 선거와는 다른 분위기가 연출된다. 현장의 목소리를 잘 아는 인물이 입후보 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순우 전 회장이 저축은행업계 경력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진정한 최초 민간 출신 회장이 나오는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다.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 역시 그간 관 출신 인사들이 갖고있는 강점이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도 여전하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누가 회장이 되야 하는가에 대한 의견이 나뉘는 분위기다.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는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구 아주저축은행(현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이끌어왔다. 이후에는 아주캐피탈 대표이사를 지내다 2018년 하나금융지주로 옮겨 하나저축은행 대표를 맡고 있다. 10년 가까이 업계에 몸담은 '정통파' 인사다

저축은행중앙회장은 79개 저축은행을 대표해 업계 이미지 개선 등은 물론 일종의 중앙은행 업무, 공동전산 지원업무 등을 총괄한다. 그만큼 업계가 돌아가는 사정을 잘 알아야 한다는게 민간 출신 회장의 필요성을 외치는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업계를 잘 아는 후보가 입후보해야 업계를 잘 대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최근 법정최고금리 인하, 중·저신용자에 대한 새로운 플레이어의 등장으로 저축은행 업계의 상황이 녹록지 않다"고 강조했다. 업계를 아는 만큼 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그간 관 출신 인사가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맡아오는 데 있어 가장 큰 강점으로 부각 됐던 것은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저축은행 역시 금융당국의 강한 규제를 받는 산업인 만큼, 이 부분에서는 관 출신 회장이 네트워크를 활용해 업계의 방향성을 정부에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업계가 바라는 점과 정부의 방침을 조율하는 역할도 민간출신보다 유리한 강점으로 꼽힌다.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위원장은 과거 금융감독위원회 은행감독과 과장, 금융위원회 은행과 과장, 금감원 기업재무구조개선단 국장, 금융정보분석원 원장 등을 지냈다.

특히 금융위원회 중소서민금융정책관을 지냈다. 다른 관 출신 인사들에 비해 금융당국의 서민금융정책, 즉 저축은행업권의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앙회장의 가장 큰 임무는 당국과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관 출신의 인사가 갖는 강점이 분명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업계의 목소리 뿐만 아니라 당국의 현재 상황을 알고 조율해 나갈줄 아는 인물이 회장에 오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