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기업은행 친인척 DB 구축?…2021년엔 실패·우리금융도 아직

  • 2025.03.31(월) 08:31

기은 882억원 부당대출 뒤 쇄신안 발표
2020년 76억원 규모 셀프대출 사건 후
임직원 가족 개인정보 등록 시스템 추진
당시 개보위 "비동의 수집 법적 문제" 제동

IBK기업은행이 최근 적발된 882억원 규모 부당대출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함께 사건 재발을 막기 위한 'IBK 쇄신 계획'을 발표했다.

김성태 행장은 "이번 일로 IBK에 실망했을 고객·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빈틈없는 후속조치와 재발방지 대책마련 등 신뢰회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고개를 숙였다.▷관련기사 : 기업은행, 배우자·직원 공모 부당대출 882억원…조직적 은폐까지(3월25일)

지난 26일 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사과문 및 쇄신 계획을 발표하는 모습./사진=기업은행

이번 부당대출은 기업은행에서 14년간 일하다 퇴직한 직원이 은행에 재직 중인 배우자 등 현직 직원들과 짬짜미로 총 785억원의 부당대출을 받은 게 핵심이다. 이에 따라 지점장 이상 임직원의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시스템적으로 친인척을 통한 부당대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키로 한 점이 눈에 띈다.

DB 구축 친인척 범위는 △임직원의 배우자 △임직원과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임직원과 배우자의 형제·자매다. 친인척의 이름과 생년월일·연락처 등이 등록될 전망이다. 올해 2월 기준 960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기업은행 전체 임직원이 1만3364명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7.1% 수준이다.

금융권에선 기업은행의 이번 친인척 DB 구축에 대해 의구심을 키우고 있다. 일시적인 쇼잉(보여주기)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내부통제 강화 차원에서 직계 가족까지는 등록을 고려할 수 있지만 친인척의 범위는 애매모호하다"고 지적했다. 사촌도 안 만나는 가족이 있는 반면, 먼 친적까지 가깝게 지내는 경우도 있어 현실적인 기준 설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개인정보 등록을 강제할 수 없다는 한계점도 있다. 이는 과거 실패 사례 때문이란 관측이 나온다. 2020년 76억원 규모 '셀프 대출' 사건 이후 윤종원 전 기업은행장이 임직원 가족 대출 관리 시스템 개발을 추진했으나 1년 만에 무산됐다.

직원 채용이나 연말정산 과정에서 비자발적으로 수집한 가족 성명·생년월일·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데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가 법적인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서다. 

기업은행은 이번엔 '자발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임직원에게 동의를 받아 친인척 DB를 구축한다는 입장인데,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로 홍역을 치른 우리금융은 지난 1월부터 '임원 친인척 개인정보 등록제도'를 시행했다. 다만 우리금융 관계자는 "친인척 개인정보 등록률에 대해선 밝히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기업은행은 DB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승인여신 점검 조직'을 신설해 이미 승인이 난 대출도 사후적으로 다시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 등 대안을 강구하고 있다. 모든 대출 과정에서 담당 직원과 심사역으로부터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받을 방침이다. 부당 행위를 점검하는 검사 업무를 쇄신하기 위해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감사 자문단'도 운영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에 대한 금융권 우려를 인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사고를 막기 위해 현재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