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미국 '자이언트'에서 '빅'으로…금리인상 속도조절

  • 2022.12.15(목) 14:29

연준, 정책금리 4.5%로 0.5%P 인상
안정 찾는 물가에 안도…보폭 줄여
한미금리차 1.25%P…내년 더 벌어질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이어온 것에 비해 보폭은 좁아졌다. 하지만 한미 간 금리차는 1.2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은도 금리인상 압박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됐다.

15일(현지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에 해당하는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5%포인트 인상해 4.25~4.5%로 운용한다고 밝혔다.

/그래픽=김용민 기자 kym5380@

한숨 돌린 물가…보폭 '빅'으로 좁힌 이유

올해 들어 미국은 매달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정책금리를 올리며 긴축의 속도를 높여왔다. 특히 지난 6·7·9·11월 있었던 회의에서는 금리를 연이어 0.75%포인트 인상했다. 

미국이 이처럼 금리를 빠르게 올려왔던 이유는 물가 상승률이 심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 2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5% 상승하면서 지난 6월까지 고공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6월에는 전년 대비 9.1% 상승했다. 198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상승률이었다. 

그나마 7월 들어서는 전월에 비해 상승폭을 좁혔다. 지난 10월에는 상승률이 7%선으로 낮아졌다.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전 발표된 11월 CPI 상승률은 시장의 전망치를 하회한 7.1%였다. 미국의 물가상승세가 어느정도 안정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 역시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고, 이번 회의에서도 인상폭을 0.5%포인트로 줄일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이날 오전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한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지난 화요일 발표된 11월 미국 물가상승률이 예상치인 7.3%보다 낮은 7.1%를 기록하는 등 물가상승률이 5개월 연속 둔화되면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한 것으로 평가된다"라고 짚었다. 

그래도 금리는 계속 오른다

금융권은 이날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을 이미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었다. 관건은 앞으로 얼마까지 올릴 것이냐다. 이번 달 금리 인상 속도를 늦췄지만 내년에도 인상을 상당 기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날 공개된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 도표)에 따르면 내년 금리의 중간값은 5.1%로 나타났다. 지난 9월 발표된 4.6%다 0.5%포인트나 상향조정됐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내년 미국의 정책금리 상단이 최고 5.5%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금리 결정 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상 속도보다는 최종 금리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가 더욱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파월의 기자회견은 매파적이었다"며 "긴축 속도 조절은 하지만 인플레이션 대응 의지를 계속해서 피력했다"고 해석했다.

이어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은 5.25%로 높아질 것"이라며 "내년 2월 회의에서 0.5%포인트 인상 이후 3월 0.25%포인트 인상해 마무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기자협회 제공

커진 한미간 금리차…고민 커진 한은 

미국 연준의 이번 정책금리 인상으로 한국 기준금리와 미국 정책금리 상단과의 차이는 1.25%포인트로 확대됐다. 

문제는 내년이다. 미국 연준은 내년 못해도 5%를 넘는 이상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염두에 두는 모습을 보이다. 반면 한은은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 최종 목표치를 3.5%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한미 간 금리 차이가 1.5%포인트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까지 금리차가 벌어지는 것은 지난 2000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이 경우 우리나라는 달러 대비 원화 약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고 한미 간 금리차이를 좁히기 위해 미국처럼 빠르게 금리를 인상하기도 여의치 않다. 원화 약세와 자금 유출 압박은 달랠 수 있겠지만 경기 침체가 더욱 깊어질 가능성이 있어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이창용 한은 총재가 그간 우리나라 기준금리 결정에 한미 간 금리 차이가 최우선 순위에 있다고는 하지 않았지만,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금리차 확대로 인한 부작용은 분명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 1분기 대내외 여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 조절 등 다양한 변수 등을 고려해 금리인상 최종 수준을 재조정할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