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은행 고보수 논란]퇴직금도 본다는데…은행 인력 적체는

  • 2023.03.15(수) 06:11

금융권, 희망퇴직 통한 인력 구조 순환 유도
퇴직금 정책 변화시 인력적체 우려 커져

금융당국이 은행들의 보수체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성과급 뿐 아니라 퇴직금도 살펴보기로 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이익 증대로 은행 직원들의 희망퇴직시 퇴직금도 수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은행권에선 불만이 쌓이고 있다. 특히 성과급뿐 아니라 퇴직금 제도까지 손볼 경우, 희망퇴직자가 급감하면서 인사 적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올초 금융당국 압박에 대규모 채용을 약속한 가운데 직원들 퇴로가 막힐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당국, '수억원' 퇴직금도 테이블 위로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해 희망퇴직비용으로 1980억원을 책정, 전년보다 7.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도 4% 늘어난 1336억원이다.

하나은행은 2021년에 비해 작년 희망퇴직자가 급증하며 희망퇴직비용이 1170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우리금융은 10.5% 감소한 162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금융지주(은행) 퇴직 비용/그래픽=비즈워치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은 국민은행 713명과 신한은행 388명,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349명과 279명, NH농협은행 493명 등 2200여명이다.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해 계산하는 법정퇴직금 등을 더하면 퇴직자들의 퇴직금은 6억~7억원 수준에 달할 것이라는 게 금융권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들의 이자이익 독식을 막기 위한 은행 경쟁 촉진방안과 함께 성과보수 체계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TF와 실무작업반 회의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성과급 체계뿐 아니라 퇴직금 지급과 관련해서도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강영수 금융위 은행과장은 "일반 직원들의 급여를 점검하는 수준이 아니라 성과급 체계를 제도적 측면에서 보겠다는 것"이라며 "어떻게 지급되고 있는지를 성과급뿐 아니라 퇴직금도 다 볼 계획으로 개선 필요사항이 있다면 (은행과)논의해서 찾아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사 적체 우려도

은행들은 희망퇴직제도가 인사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5대 은행에서 매년 1000~2000명 정도 직원이 퇴사하고 그 자리를 신입 행원 채용을 통해 메우는 구조라는 의미다.

실제 희망퇴직이 없는 국책은행의 경우 인사적체가 고질적 문제로 꼽힌다. 2015년 국책은행 희망퇴직금 지급 규모가 과다하다는 감사원 지적 이후 준·정년 임직원의 희망퇴직시 퇴직금은 임금피크제 급여의 45%만 지급된다. 시중은행과 비교해 턱없이 낮은 수준의 퇴직금으로 국책은행 희망퇴직제도는 사실상 유명무실한 셈이다. 

한 국책은행 노조 관계자는 "전체 임직원중 임금피크제 비중이 8~9%인 상황이라 연말이 되면 인건비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며 "신규 채용도 쉽지 않아 현장에선 인력 공백 현상에 직원들 업무 부담이 커지고, 자연스레 소비자 서비스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은행들은 코로나19 이후 빠르게 디지털금융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로 인해 은행 인력구조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로 점포가 줄면서 기존 인력 수요는 감소하고, IT 인력이 증가하고 있다.

금융연구원은 2020년 12월 '국내은행 인적자원 관리체계 현주소' 보고서에서 "디지털 혁신과 함께 코로나19로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은행의 경영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책임자급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는 은행 활력 저하와 비용증가 요인이라 종형이나 피라미드형 인력구조 전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올초 금융당국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금융권에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은행들은 올 상반기 2288명의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은행연합회)했다. 작년 상반기보다 48% 증가한 숫자로, 지난해 희망퇴직을 신청한 규모보다도 많다.

이를 감당하기 위해선 희망퇴직제도가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 은행권에서 퇴직금 제도 개선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인건비 비중이 높아 인력 관리가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며 "그동안 희망퇴직제도가 인사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퇴직금 제도 변화로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퇴직금 규모를 보고 접근하는 게 아니라 희망퇴직제도의 순기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